.국내 첫 영리병원인 녹지국제병원이 내년 제주도에서 문을 연다. 2002년 김대중 정부에서 영리병원 설립을 검토한 이후 16년 만이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귀포시 토평동에 조성된 헬스케어타운에 녹지제주헬스케어타운유한회사(녹지제주유한회사)가 건립한 외국 의료기관인 녹지국제병원 개설을 허가한다고 밝혔다. 관련 법에선 진료 대상을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녹지국제병원의 진료 대상은 '외국인 의료 관광객'으로 한정됐다. 정부와 여당이 사실상 "더 이상 영리병원 승인·허가는 없다"는 입장이라 전체 의료 서비스 산업 차원에선 '반쪽짜리'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녹지국제병원 개설 허가는 투자자인 중국 녹지(綠地)그룹이 2015년 12월 정부 승인을 받은 뒤 3년 만에 이뤄진 것이다. 지난 10월 '녹지국제병원 공론화조사위'에선 녹지국제병원 개설에 반대하는 의견이 58.9%로 더 많았고 원희룡 지사도 "도민 의견을 수용하겠다"고 했다. 그러다 다시 입장을 바꾼 것이다. 경제 살리기와 관광산업 재도약, 외국 투자자에 대한 행정의 신뢰성 등을 고려했다는 것이 제주도의 설명이다. 토평동 헬스케어타운 2만8163㎡ 부지에 들어선 녹지국제병원은 이르면 내년 초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18년 12월 4일(화), 북경 웨스턴호텔에서 이호준 투자정책관 주재로 한국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국 투자가들을 초빙하여 투자가 라운드테이블*(R/T)을 개최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는 산업용로봇·이차전지(SIASUNROBOT, Yoku), 신재생에너지(레네솔라), 콘텐츠·소비재·정보통신기술(ICT; 알파그룹, 유미도, 광저우쩐다), 부동산·재무투자(모던랜드, 푸스투자, 동정캐피탈) 등 미래 유망 신산업 분야와 한·중간 투자협력 강화가 기대되는 분야에서 총 10개 기업이 참석한다. 이번 행사는 사상최대 실적을 기록 중인 중국 발(發) 외국인투자의 상승 모멘텀*을 유지함과 동시에 한·중간 미래지향적 투자협력 기반 구축을 본격화 하기 위해 추진된 것이다. 또한, 최근 미·중 무역분쟁 확산에 따른 중국내 기업(중국기업, 외국기업, 국내기업)의 한국투자 가능성 등 추가적인 투자수요도 확인하기 위한 자리였다. 이호준 국장은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한·중 양국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양국간 한단계 더 높은 투자협력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라고 강조했다. 한국에 “구체적인 투자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지난 28일 전격 퇴임을 선언한 가운데, 이 회장이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가 아름아름 입소문을 타고 업계로 흘러나오면서 소소한 감동을 주고 있다. 이 회장은 23년간 그룹을 이끌었지만 이날 오전 서울 강서구 마곡동 코오롱원앤온리(One & Only)타워에서 임직원 200여명이 참석해 열린 성공퍼즐세션에서 예고없이 연단에 올라 "내년부터 그 동안 몸담았던 회사를 떠난다"며 "앞으로 그룹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이 회장이 사내 인트라넷에 임직원에게 보내는 서신 전문이다.. 코오롱 가족 여러분! 한 해 잘 마무리하고 계시지요? 새해 밑 그림을 그리고 있을 여러분에게 저의 한가지 결심을 알리려 합니다. 저는 2019년1월1일자로 코오롱그룹 회장직에서 물러날 것입니다. 대표이사 및 이사직도 그만두겠습니다. 앞으로 코오롱의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회사에서 여러분들에게서 “회장님”으로 불리는 것은 올해가 마지막이네요. 그동안 몸 담았던 코오롱을 떠나지만 지금은 제게 새로운 시작입니다. 1996년1월 제 나이 마흔에 회장 자리에 올랐을 때 딱 20년만 코오롱의 운전대를 잡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사상 처음으로 매출 2000억 위안을 넘긴 올해 중국 광군제의 주요 트렌드는 ‘지우링허우(1990년 이후 출생자)’, ‘메이드 인 글로벌’, ‘온·오프라인 결합(O2O)’, ‘생체인증 결제’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영주) 베이징 지부가 27일 발표한 ‘중국 광군제 10년의 트렌드 변화’에 따르면, 올해 10주년을 맞은 광군제는 사상 처음으로 주문량 10억건, 매출액 2000억 위안을 초과했다. 지난 2009년 알리바바가 처음으로 행사를 할 때만 해도 광군제 매출은 5000만 위안에 불과했지만 10년이 지난 올해는 4270배 증가한 2135억 위안으로 급증했다. 참가 브랜드도 첫 해의 27개에서 18만개로 늘어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광군제 행사는 소비계층, 품목, 유통방식 등 다방면에서 변하고 있다. 광군제 주요 소비층의 절반은 즉흥성, 가성비, 모바일 세대로 대변되는 지우링허우다. 소비품목도 과거에는 중국 로컬제품에 국한됐으나 올해는 75개국에서 1만9000개 브랜드가 참여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중국 소비자의 인기를 끈 5대 수입상품은 화장품, 영유아용품, 건강식품, 의류, 디지털 가전제품이었다. 해외직구 국가별로는 한국이 일본과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