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강국 향한 누리호 3차 발사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1기와 큐브위성 7기 등 본격적으로 실용급 위성을 탑재해 발사하는 첫 사례다. 2023.5.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회춘에 집착해온 미국의 40대 백만장자가 이번엔 17살 친아들의 피를 수혈받았다. 이 사업가는 젊음을 되찾으려고 혈장을 기부받는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비과학적이다", "역겹다"는 반응도 나온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같은 행각을 벌인 주인공은 미국 IT 사업가인 브라이언 존슨(45)으로, 자신의 신체 나이를 만 18세처럼 되돌리겠다는 '꿈'에 집착해온 인물이다. 그는 이전에도 익명의 젊은 기부자에게서 혈장을 최근 몇달 사이에 수차례에 걸쳐 수혈받아왔는데, 지난 4월엔 친아들인 17살 텔메이즈를 텍사스 댈러스의 한 의료 시설로 데려갔다. 이곳에서 미성년자인 텔메이즈는 몇시간 동안 침대에 누운 채 1리터에 달하는 피를 뽑았다. 이는 텔메이즈 전체 혈액량의 5분의 1 정도로 추정된다고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분석했다. 곧장 텔메이즈의 피에서 분리된 혈장은 아버지인 브라이언에게 주입됐다. 사실 이날 혈장 기증은 3대에 걸쳐 이뤄졌다고 한다. 브라이언은 이날 자기 피를 뽑아 혈장을 분리한 뒤 70살 친아버지에게 주입하며 이들 3대는 '3각 기증'을 성사시켰다. 브라이언은 디지털 결제 업체인 '브레인트리'를 세운 뒤 이를 매각하면서 돈방석에 앉
연명의료결정제도 개선에 관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권고 '23.5.10.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현재 운영 중인 연명의료결정법은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결정, 사회적 협의체 운영,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입법 권고와 그에 따른 법률안 마련, 법률안에 대한 전문가 및 시민단체의 논의와 자문 등을 거치는 사회적 합의에 근거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위원회 권고에 담긴 합의 범위나 내용이 입법 과정에서 충실히 반영되지 못하였거나, 입법 취지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는 등 현행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후 일부 개선이 필요한 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에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는 그 동안의 운영과정을 참조해 법률 개정이나 추가 입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항에 대한 권고사항을 마련하였으며 붙임과 같이 권고문을 게시합니다. 1.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선에 대한 사항 현재 운영 중인 연명의료결정법은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결정, 사회적 협의체 운영,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입법 권고와 그에 따른 법률안 마련, 법률안에 대한 전문가 및 시민단체의 논의와 자문 등을 거치는 사회적 합의에 근거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위원회 권고에 담긴 합의 범위나 내용이
3년 간의 코로나 암흑시대를 벗어난 해외 장례업계 박람회 소식이 반갑다. 우선 중국을 살펴보면 내달 6월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장례문화산업 전시회가 개최된다. 2023년 6월 10-12일 산둥성 칭다오에서 개최될 제9회 중국 국제 장례 박람회가 그것인데 박람회는 장례업계의 새로운 개념, 신기술, 신소재, 신제품을 집중적으로 선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동시에 전시 구역에는 의례 전시 구역이 설치되어 행사의 전 과정을 회차별로 시뮬레이션하여 대표적이고 지역적인 우수한 장례 문화를 전시한다. 6월 8일부터 9일까지 박람회를 주제로 산업교류회를 개최하는데 업계 네외의 전문가와 학자들을 초청해 중국 현대 장례 개혁과 발전을 위한 세미나를 가질 예정이다.또 전시회 기간 중, 칭다오시 장례식장, 칭다오시립 공원묘원 견학 등도 마련된다. 관련기사-> 클릭 변화와 혁신, 세계는 발 빠르게 전진하고 있다. 중국국제장례문화견학, 무슨 일이 있었나? ① 박람회 CFA(중국장례협회) 이건화(李建华) 회장은 4년 전 본지가 우한장례문화견학연수시 맺은 우호협력 행사를 기억하며 한국 장례CEO들을 향한 안부를 전해 왔다. 본지는 전시회의 성공을 기원하는 축하메세지를 전달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