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법에 규정되지 않아 합법도 불법도 아닌 상태였던 산분장은 지난 1월 장사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합법화됐다. 정부는 2027년까지 현재 8%에 머무는 산분장 이용률을 30%로 올리겠다는 방침이다. 복지부는 지난 18일 전국 17개 시도에 ‘산분장지 조성 사업 국고 보조금 신청 안내’ 공문을 보냈다. 이 공문에는 산분장지 1㎡당 10만원씩 지원하고 국비 보조율이 70%(최대 1억원)라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산분장 추모 시설과 각종 편의 시설 등은 지원되지 않는다. 산분장지를 만들 계획이 있는 지자체는 신청서를 작성해 다음 달 18일까지 복지부에 제출하면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올해 안으로 공공 산분장지 2~3개소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산분장지 국고 지원 사업을 내년에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설 묘지나 봉안 시설, 자연 장지 등에서 산분장이 가능하다. 2023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 산분장지 조성이 가능한 장소는 모두 합쳐 553개소다. 정부는 오는 7~9월 지자체에 공공 산분장지를 설치해 올해 말쯤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시민들이 이곳에서 산분하는 데 드는 비용은 사실상 ‘공짜’에 가깝다”
나사 비행사 2인, 지구밖 극한 환경 탓 '가속노화' 매달 뼈와 근육 1%씩 소실, 심장·혈관도 악해져 지난해 6월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비행을 떠났다가 예기치 않게 9개월이나 우주에 발이 묶여 있던 우주비행사 2명이 지난 18일 지구로 돌아왔다. 그런데 1년도 안 되는 동안 이들이 외모상으로 급속한 노화를 겪은 것으로 보여 우주에서 인체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 일본 전역에서 성행했던 '러브호텔'이 저출산과 고령화로 최근 장례식장으로 개조되고 있다. 19일(현지 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일본 동부 사이타마현에 있는 한 러브호텔이 지난달 장례식장으로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러브호텔은 과거 1960년대 일본 정부가 매춘을 불법화한 후 매춘업소 대체 시설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연인이나 공동주택에 거주 중인 부부가 개인적인 시간이나 프라이버시를 위해 사용하는 숙박업소로 인식이 변화, 1980년대 일본의 버블경제에 힘입어 급성장했다. 특히 일본의 러브호텔은 익명성 보장과 단시간 대여 등 편의성뿐 아니라 독특한 테마와 인테리어로 큰 인기를 끌었다. 화려한 내부 장식이나 영화, 애니메이션, 판타지 등 다양한 콘셉트로 꾸며진 객실이 많다. 사탕 가게, 궁전, 보트,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음악 시스템, 게임기, 대형 욕조 등 시설도 갖춰 여가 공간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러브호텔의 인기와 함께 '2차 베이비붐' 시대로 불리는 1971~1974년에는 일본 연간 출생아 수가 200만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러브호텔이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장례식장으로 바뀌고 있다. 사이타마현에 있는
통계청이 발표한 ‘2024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000건으로 전년 대비 14.8% 증가했다. 혼인 건수는 재작년 모처럼 반등한 이후 2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2년 연속 증가는 2010·2011년 이후 처음이다. 증가 폭 또한 컸다. 1년 새 15%에 이르는 혼인 증가율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30대 초반 인구 규모가 많이 증가했고, 코로나에 따라 혼인이 감소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있었다”며 “정책적으로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서 여러 결혼을 장려하는 정책들을 펼치고 있는 영향이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22만여쌍이 혼인한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5%가량 증가한 것으로 증가율은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대다. 인구가 많은 1991~1995년생 세대가 초혼 평균 나이인 30대 초반 나이가 된 데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연된 혼인이 이뤄진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국제 결혼도 덩달아 늘고 있다. 특히 한국 남자와 일본 여자의 혼인 건수 2년째 급증세. 초혼 연령 男↓·女↑, 격차 2.3세 남녀의 초혼 연령은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