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30년 세월 함께 운 바이올린

꽃나무 그늘아래 불효자의 회한

 
경북 김천시 봉산면 봉계리 내남산 자락. 포도밭 길을 따라 올라가면 잘 가꿔진 묘소가 나온다. 여기서 매주 토요일 오후면 바이올린 소리가 흐른다. 벌써 30년째다. 지난 23일(토) 낮 2시쯤 ‘소문’을 듣고 찾아갔을 때도 누군가가 바이올린을 켜고 있었다. 곡명(曲名)은 모르겠고, 다만 무척 애처로운 느낌이다. 저 안쪽 두 개의 봉분(封墳) 사이에 감색 양복을 입고 감빛 ‘빵모자’를 쓴 노신사 한 명이 보인다. 지그시 눈을 감은 채 주저앉아 바이올린을 켜고 있다.

서울 용산(동부이촌동)에 사는 올해 여든 둘의 손성호(孫星湖)씨. 편도 3시간 넘게 걸리는 250㎞ 길을 말 그대로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한 번 거름 없이 찾아 왔다. 토요일 아침 그는 서울역에서 무궁화호 열차를 탄다. 대전을 지나 김천역에 내려 버스를 타고 봉계리 고향집에 들른다. 점심 삼아 후딱 밥 한 술 뜨고는 자전거에 낫과 담배, 상에 올릴 과자와 사탕을 챙겨 싣고 산으로 향한다. 부모 산소를 마주하고 앉아 한 주일간 있었던 일을 얘기하고, 바이올린을 꺼내 부모님이 좋아하던 가락들을 풀어놓는다. 대개 5∼6시간. 해가 질 때까지 머문다.

철마다 좋은 꽃 보시라고 목련·백일홍·진달래·벚꽃 등 수십 가지 꽃나무를 하나씩 사다 날랐다. 묘를 빼곡히 둘러싼 꽃나무가 어느덧 300그루가 넘는다. 벌초는 아이 머리 깎듯 낫으로 하고, 묘지 가운데는 어두운 데 계시지 말라고 석등을, 봉분 옆에는 심심할 때 타고 노시라고 양(羊) 모양의 석상을 세웠다.

“이놈의 ‘빠이롱(바이올린)’만 보면 부모님이 떠올라 눈물나.”

1924년 외아들로 태어나 부모님 사랑을 독차지했던 손씨. 15살 때 이웃집 형이던 작곡가 나화랑(羅花郞·1921~1983·‘무너진 사랑탑’, ‘청포도 사랑’ 등 작곡) 선생이 연주하던 바이올린 소리에 반했다. 어머니를 졸라 논 네 마지기값(32원)에 이탈리아제 바이올린을 구했다. ‘딴따라 될 거냐’며 불호령 내리시는 아버지를 피해 화장실에 숨어 연습한 적이 한 두 번 아니고, 악보를 사려고 아버지 서랍에서 돈을 훔친 적도 있다. 바이올린 탓인가, 중학교는 그의 마지막 학력이 됐다. 그는 “평생을 함께 한 친구지만, 이놈 때문에 부모님 속 썩인 죄스러움은 잊을 수가 없다”고 했다.

1964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김천에서 교도관으로 일하던 그는 10년 넘게 매일 출근 전 산소에 들러 지난날 잘못을 고했다. 그러다가 공무원생활을 마친 1977년 나화랑 선생의 권유로 연주자 활동을 위해 고향을 떠났고, 이듬해 어머님도 돌아가셨다. 손씨는 이때부터 주말마다 고향과 부모님 산소를 찾았다. 벌써 30년, 아버지 묘소를 찾던 세월을 보태면 43년째다. 지난 6월에는 아내도 이곳에 묻었다.

“효도? 난 효도하고 있는 게 아니라 불효를 반성하고 있는 거야.” 그는 “오래 하다 보니 그냥 내 생활의 일부가 된 거지”라고 했다.

해질녘, 손씨는 짐을 챙겨 산을 내려갈 채비를 마치더니 외치듯 얘기했다. “아버지! 어머니! 한 주 동안 잘 계세요.” 이렇게 1주일 뒤 만남을 약속하고는 마지막으로 ‘툭툭툭’ 아내의 봉분을 손바닥으로 가볍게 두드렸다.

이런 그를 수십년 지켜봐 온 봉계리 주민들은 “효자비(碑)를 세워야 한다”며 추진위원회를 만들었다. 주민 이상기(78)씨는 “말이 30년, 40년이지, 그게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냐”고 했다.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