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인도, 해골 수출업 성황

 
1980년 경 인도 콜카타(옛 캘커타)의 뼈공장(bone factory)에서는 죽은 사람의 뼈를 잘 손질해 미국이나 유럽에 의학용으로 수출되었다. 그런데 법으로 뼈 수출이 금지된 오늘날에도 이와 비슷한 광경이 여전히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인도에서 뼈 수출은 200년이 넘은 아주 오래된 산업이었다. 선진국의 의과대학과 병원이 주고객이었다. 심지어 식민지 시절엔 영국 의사들이 도둑까지 고용해 공동묘지에서 시신을 훔쳐내기도 했을 정도로 번창했다. 1980년 초만 해도 뼈 수출의 중심지였던 콜카타에서는 도굴되는 묘가 너무 많아 주민들도 죽은 뒤 자신의 시신이 파헤쳐질까봐 걱정을 했을 정도였다고. 그러다 충격적인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수출할 뼈를 확보하지 못한 일부 업자들이 살아 있는 사람을 죽이고 있다는 것이었다. 인도 정부는 더 이상 이 위험한 산업을 방치할 수 없었다. 1986년 뼈 수출은 법으로 금지되었다. 대규모 뼈공장이 줄줄이 문을 닫았다.
 
그런데 2001년부터 콜카타 보건당국에 민원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시신 보관소와 공동묘지 사이에 위치한 한 공장에서 시신 썩는 악취가 나는가 하면 지붕에 하얀 뼈를 널어 말리는 모습이 눈에 자주 띈다고 공장 인근 주민들이 잇따라 신고한 것. 보건 당국이 증거를 찾기 위해 공장을 급습했다. 과연 세 트럭 분량의 사람 뼈가 나왔다. 게다가 미국과 유럽 그리고 싱가포르로 수출하기 위한 서류까지 발견됐다. 명백한 물증과 함께 공장 주인은 경찰에 고발됐지만 어찌된 일인지 그는 며칠 만에 풀려났다.
 
그리고 지난 5월 이 공장은 또 다시 뼈 밀수를 하려다 발각됐다. 경찰은 뼈 7만 달러어치(100명 분에 해당)를 숨겨둔 장소를 찾아냈다. 업자는 시신 부위별 값을 소개한 카탈로그까지 만들었다. 그러나 이 증거물이 재판까지 갈 지는 이번에도 불투명하다. 현지 경찰이 뼈 밀수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듯 하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뼈를 수입하는 것이 합법인데다 뼈의 주인은 이미 죽었고, 단속이 암시장만 더 키울 것이 뻔한데…" 콜카타 경찰 간부의 "말씀"이다.
 
인간의 존엄은 살아서나 죽어서나 누려야 할 권리이다. 의학용으로 시신을 기부하는 경우가 많지 않아 이런 몹쓸 산업이 아직 형편이 어려운 나라에 남아 있나 보다. 백번 양보해 생각해 봐도 마음이 착잡하다.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