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아름답고 의미 있는 임종을 준비하는 웰다잉문화가 한국에서도 많이 활성화되어 있는데, 일본의 동일한 뜻을 가진 '終活'문화는 우리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널리 일상화 되어 있다. 또 일본에서는 고령화사회의 도래로 재택요양과 간호업무가 나날이 증가하고 병원에서 보다 가정이나 요양시설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그야말로 죽음의 일상화가 서서히 진행 중이다.
현장에서 봉사하고 있는 뜻있는 전문인들은 '웰다잉'의 기본 교육도 좋지만 무엇보다 올바른 '사생관'을 양성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 같다. 국가정책에 의해 병원에서 가정이나 노인 시설에서의 죽음이 일상화로 향하고 있다고 하지만 가정이나 요양시설에서의 간호체제 구축이 고령자나 사망자의 증가에 따라 가지 못하는 '간호난민'의 대량 증가속에서 오도된 사생관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개인의 평온한 최후를 맞이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민간 전문인들과의 협력을 모색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런 가운데 일본 중외일보(中外日報)에 의하면 지난 2월 28일 「일본임상종교사회(日本臨床宗教師会)'의 발족이 눈길을 끌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임상종교사’의 자격인정 제도의 구축 등을 목표로 출범한 이 단체는 교토시 류코쿠대학교(龍谷大)에서 열린 설립기념 심포지엄에서 시마조노 스스무(島薗進 )회장 (上智大 그리프케어 연구소장)은 "현 단계에서는 각 대학에서 다양한 양성제도가 있어 통일된 자격인정이 큰 과제“라고 말했다.
임상종교사의 연수는 도호쿠대학(東北大)에서 2012년에 시작되어 류코쿠대학(龍谷大), 고야산대학(高野山大), 츠루미대학(鶴見大)으로 퍼져, 16년도 이후는 조오치대학(上智大), 슈치인대학(種智院大)을 비롯한 여러 대학교에서 연수과정이 개강 예정에 있는데 지금까지 약 150 명의 종교인이 연수를 수료한 전국 6개 지역에서 ‘임상종교사회’가 조직되어 수십 명이 의료기관 등에서 유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본임상종교사회'는 수료자 및 연수지도자들을 정회원, 비종교인을 포함한 '공공기관에서 300시간 이상의 실무경험자'을 준회원으로 받아 들이고 있다. 자격인정 외 평생교육과 연구, 계발, 관련기관과의 제휴 등을 추진하고 있다.
결국 죽음의 일상화 과정에서 고인이나 가족들이 올바른 사생관의 확립없이 무의미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폐단을 개선하여 보다 경건하고 의미있는 추모정신을 향상시켜 보자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일상 행정이나 학문이 아닌 종교적 마인드의 힘이 필요해 졌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
관련기사 ---> 자살 막으려… 교토, 임상종교사 도입 (2015. 6. 23. 세계일보)
일본 교토부가 일본 행정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자살 방지를 위해 ‘임상종교사’를 활용하기로 했다고 산케이신문이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교토부는 올해 안에 류코쿠대와 제휴해 위탁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임상종교사는 ‘경청’을 통해 유족의 슬픔을 치유하고, 죽고 싶다는 마음을 가진 사람들의 자살을 방지하는 일을 한다. 임상종교사는 종교나 종파의 차이를 뛰어넘어 사람들의 한탄이나 고민에 귀를 기울여주는 종교인이다. 포교나 전도 활동은 물론 특정 종교단체를 이롭게 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을 활용하는 것은 정교분리 원칙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교토부는 판단했다.
교토부는 2013년부터 임상종교사의 활용에 주목했다. 동일본대지진의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자원봉사에 나선 승려나 목사 등이 가설주택의 집회소 등을 돌며 ‘경청 카페’를 운영하는 것을 시찰한 이후 이들을 자살대책에 응용할 수 있지 않을까 검토했다. 지난해 시작된 류코쿠대 대학원의 임상종교사 양성 과정은 지금까지 11명이 수료했다. 종교나 종파를 묻지 않고, 일반 종교인에게도 문호를 열어두고 있으며 올해는 13명이 수강하고 있다. 교토부는 지금까지 임상종교사 91명을 배출한 도호쿠대에도 사업 협력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