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2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웰다잉

죽음 앞에서 평온해 지려면

“그에게 죽음이 다가온 것이 아니라, 그가 죽음을 성취한 것이다.”


수년 전 세계인의 애도 속에 세상을 떠난 애플(Apple) 창립자, 스티브 잡스(1955∼2011년)의 장례식에서 그의 여동생이자 소설가인 모나 심슨이 읊은 추도사의 한 대목이다. 숨을 거두기 전날, 스티브 잡스는 아이들과 아내 로렌을 차례로 오랫동안 바라본 다음, 짧은 감탄사를 내뱉고는 눈을 감았다고 한다. 췌장암으로 사망한 그는 죽기 직전에 자신의 자서전을 출간하고, 평소 구상해오던 신형 IT기기들을 잇따라 출시하는 등 자신의 죽음을 준비해왔다. 그는 2005년 췌장암 치료를 받고 나서 미국 스탠퍼드대학 졸업식에서 유명한 연설을 했다. 연설문은 인터넷에 다 떠있고, 한국어로도 번역이 되어 있다.


“곧 죽게 된다는 생각은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을 할 때마다 큰 도움이 된다. 사람들의 기대, 자존심,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 거의 모든 것들은 죽음 앞에서 무의미해지고 정말 중요한 것만 남기 때문이다.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무언가 잃을 게 있다는 생각의 함정을 피할 수 있다. 당신은 잃을 게 없으니 가슴이 시키는 대로 따르지 않을 이유도 없다.” 여동생이 추도사에서 ‘오빠가 죽음을 성취했다’고 표현한 것은 그의 이런 삶의 자세 때문인지도 모른다. 우리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모두 죽음을 향한 여정에 오르며, 결국 언젠가는 죽음에 직면하게 된다. 그래서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Heidegger)는 일찍이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죽음을 향해 가는 존재(Sein zum Tode)”라고 말했다. 또 철학자 김열규는 “죽음은 삶과 함께 자란다”고 말했고, 종교학자 정진홍은 “죽음은 삶이 도달한 마지막 삶의 형태“라고 했다. 삶과 죽음이 동전의 앞과 뒷면처럼 결국 하나라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고 생각하기를 꺼려한다. 죽음학 연구의 선구자인 퀴블러 로스(Kübler-Ross)는 죽음을 앞둔 환자 5백여 명을 인터뷰한 다음, 사람들이 죽음에 접했을 때 ‘부정’과 ‘고립’→ ‘분노’→ ‘타협’→ ‘우울’→ ‘수용’ 등 5단계의 심리적 변화를 겪게 된다고 밝혔다. 죽음이 닥친 것에 대해 처음에는 부정하고 분노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엔 자신의 운명과 타협하고 우울해 하다가 결국 죽음을 수용하는 과정을 밟는다는 것이다. 결국 인간의 삶이 죽음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면,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은 어떨까? 죽음불안 심리를 극복하려면 죽음과 삶이 하나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어떤 것이 아름다운 노년이고, 또 어떻게 죽는 것이 아름다운 죽음인지를 깨달아야 한다. 이런 내적 성찰을 통해 우리는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해 더욱 진지한 자세를 가지게 될 것이고, 오늘 우리가 사는 이 땅의 현실에 대해서도 더욱 충실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요즘 우리 시대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웰다잉(well-dying, 잘 죽기)의 개념이다.


영국 메디컬 저널지(BMJ)는 품위 있는 ‘좋은 죽음(good death)’에 대해 ‘어디서, 누구와, 어떻게 삶을 마무리 할 것인지에 대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자신의 죽음의 방식을 스스로 선택한다는 것은, 죽음을 당하기보다는 당당하게 맞이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웰다잉에 대한 인식이 필요한 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죽음의 질(quality of death)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 영국 이코노미스트 연구소가 40개국의 '죽음의 질'을 평가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32위를 기록해 하위권으로 나타나고 있다. 죽음에 대한 논의가 아직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어 있고, 우리나라 고령자들의 70%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 사망한다는 이유 등으로 이런 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가 명실공히 선진국이 되려면 우리 사회의 죽음 문화가 한 단계 더 레벌 업(level up)되어야 한다. 살아생전 유언장과 사전의료의향서 등을 써놓고 자신의 죽음에 미리 대비하는 것도 웰다잉에 필요한 요소들이다.


 죽음 앞에서 평온해 지려면  죽음을 의식할 때, 사람들은 2가지 모습을 보인다. 첫째 그룹은 어떻게든 죽음을 피하려고 노력하는 집단이다. 놀랍게도 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임박해서도 마치 죽음을 피할 수 있다는 듯이 행동한다. 어떤 사람은 명의(名醫)를 찾아 수많은 병원을 돌아다니고, 또 어떤 사람은 만병통치약을 찾아 헤매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갑자기 종교에 매달리기도 한다. 둘째 그룹은 죽음을 삶의 또 다른 형태로서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집단이다. 이들은 오히려 자신의 죽음에 가족들이 덜 상심하도록 배려하고, 자신이 살아서 쌓아두었던 것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베풀려고 노력한다. 바로 아름다운 죽음, 웰다잉을 준비하는 것이다. 우리가 희망하는 웰다잉은 존엄한 죽음, 존엄사(尊嚴死)와도 일맥상통한다. 죽음은 누구도 피하지 못한다. 그래서 옛 현인들은 "죽음이 눈앞에 와 있는 듯 하루하루를 살라"고 말했고, 어떤 이는 죽음을 ‘우리 어깨 위에 내려와 앉은 새’라고 표현했다. 우리가 죽음을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깨닫고, 남은 인생을 하루하루 충실하게 살아간다면 현재의 삶은 보다 의미 있는 것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프리미엄조선 발췌]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