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15.8℃
  • 흐림강릉 11.2℃
  • 황사서울 18.8℃
  • 맑음대전 22.0℃
  • 구름조금대구 18.2℃
  • 박무울산 16.5℃
  • 맑음광주 17.6℃
  • 흐림부산 16.3℃
  • 맑음고창 17.3℃
  • 구름조금제주 17.5℃
  • 맑음강화 17.6℃
  • 맑음보은 14.9℃
  • 구름많음금산 22.7℃
  • 흐림강진군 15.6℃
  • 구름조금경주시 16.2℃
  • 흐림거제 15.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조력존엄사 반대의견, “의사는 치료자이지 살인자가 아니다"

이명진 원장 “사회적 약자‧취약계층 위험에 빠뜨릴 수 있어”

이명진 원장(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상임운영위원장, 성산생명윤리연구소 전 소장, 의료윤리연구회 초대회장)이 ‘조력 존엄사’ 관련 보도에 강력히 반박했다. 그는 “의사는 치료자(Healer)이지 살인자(Killer)가 아니라"며 생명경시 사상을 조장하는 언론 보도 등은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회적 약자‧취약계층 위험에 빠뜨릴 수 있어”

 

이명진 원장은 최근 보건사회연구원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웰다잉 논의의 경향 및 과제’ 보고서에 관한 언론 보도에 대해 “조력 존엄사라는 표현 자체가 언어유희에 불과하다”며 “모든 안락사는 결국 인간의 생명을 끊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좋은 죽음’이라는 의미를 지닌 안락사(euthanasia)라는 용어도 본래는 생명윤리에 위배되는 위험한 개념”이라며 “과거 우생학이 인종 차별과 학살로 이어졌듯이, 조력 존엄사 또한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참고기사 : '조력 존엄사 합법’ 찬성 82%, 그 이유는?

 

이 원장은 의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전 세계 모든 의사협회가 의사조력자살(PAS, Physician Assisted Suicide)에 반대하고 있다”며 “의사는 치료자로서 환자를 돕는 존재이지, 죽음을 돕는 존재가 아니”라고 했다.

 

또한 현행법에서도 의사조력자살은 금지돼 있다며, 형법 제252조(촉탁, 승낙에 의한 살인 등)에 “사람의 촉탁이나 승낙을 받아 그를 살해한 자는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명시된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 원장은 “이미 21대 국회에서도 조력 존엄사 법안이 발의됐으나, 의사단체와 종교계, 생명윤리단체의 강한 반대로 폐기된 바 있다. 같은 내용의 법안을 22대 국회에서 다시 추진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최선의 치료’, ‘돌봄 환경 조성’ 정신의학적 도움’ 등 요청하며 조력자살 반대해

 

이 원장은 대한의사협회의 윤리지침과 정책(KMA POLICY)을 근거로 조력 존엄사가 의사의 직업윤리에 반하는 행위임을 강조했다.

 

대한의사협회는 ▲의사조력자살은 의사가 환자의 자살에 관여하는 행위다 ▲의사는 의사조력자살을 시행하거나 자살을 방조해서는 안 된다 ▲환자의 고통은 조력자살이 아닌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 ▲환자의 자기결정권은 존중되어야 하나 의사조력자살은 생명을 중단하는 행위로 자기결정권의 경계를 벗어난다 ▲임종기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최선의 치료와 돌봄 환경 조성(정책 제안 포함)의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완화의료 및 정신의학적 도움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취지의 공식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통계 왜곡 보도 자제하고 생명윤리 지켜야”

 

이 원장은 “연명의료결정과 조력 존엄사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며 “호스피스를 강화하고 임종기 환자들에게 최선의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지, 환자가 스스로 생을 마감하도록 조력하는 것은 올바른 해결책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또 이 원장은 “언론이 생명경시 사조를 조장하는 보도를 해서는 안 된다”며 “인간의 생명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존엄성이 보장돼야 하며, 어떤 순간도 가치가 떨어지지 않는다. 올바른 언론이라면 늙고 병든 이웃을 돌보는 따뜻한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문제를 제기하고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력존엄사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