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사유지를 침범해 세워진 공설묘지 내 분묘굴이(이전)와 상석·비석을 철거해야 하는 책임의 주체는 묘지가 자리한 해당 시(市)가 아니라, 분묘에 안장된 망인의 제사주재자라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2부(주심 권영준 대법관)는 A씨가 경기도 구리시를 상대로 낸 분묘굴이 등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로 판단한 원심판결 중 일부를 깨고 사건을 의정부지법으로 돌려보냈다고 11일 밝혔다. A씨는 가족과 공동으로 소유하던 구리시 임야 10만6908㎡에 대해 2015년 7월 22일 단독 소유권이전 등기를 마쳤다. 구리시는 1974년 10월부터 A씨 소유 토지와 접한 시내 임야 6만8628㎡ 외 22필지 지상에 공설묘지를 설치해 운영하면서 주민들에게 분묘 설치와 사용을 허락해 왔다. 이에 A씨는 구리시가 운영하는 공설묘지 내 분묘가 자신의 토지 일부를 침범했다며 구리시를 상대로 분묘 굴이, 상석·비석의 철거 및 침범 부분의 인도 등을 청구했다. 1심은 A씨의 손을 들어주면서, 구리시가 A씨 토지를 점유한 기간의 임료 상당 부당이득인 2625만원을 반환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피고(구리시)가 원고 A씨 측으로부터 이 사건 침범 부분을 점유할 권리를 적법
웅진, 교원, 대교 등 주요 교육 그룹 3사가 상조 시장에 진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영유아 교육 시장이 축소되는 반면, 시니어 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상조 시장은 이미 경쟁이 치열해진 상태로, 새로운 진입자들이 많아지면서 ‘레드오션’ 상황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 웅진의 프리드라이프 인수 추진 10일 업계의 소식에 따르면, 웅진은 상조업계 1위인 프리드라이프의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웅진은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로부터 프리드라이프의 경영권을 인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며, 인수 가격은 1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프리드라이프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누적회원수 221만명, 누적 부금선수금 2조 3980억원, 총자산은 2조 7600억원에 달한다. 웅진이 프리드라이프를 인수하면 상조업계에서 단숨에 1위로 올라서는 셈이다. 시너지 효과와 시니어 사업 확장 웅진은 프리드라이프의 상조 서비스와 자사의 웅진씽크빅 교육 서비스 간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웅진씽크빅과 프리드라이프는 올해 초 교육 전환 서비스를 함께 출시하며 협업을 진행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프리드라이프 고객이 상조 서
인생에 필수적으로 동반하는 죽음이 우리네 삶의 곁애서 엄연한 비즈니스로 존재하고 있다. 이 죽음 비즈니스가 날이 갈수록 이색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모습을 일본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최근 (棺活)이란 용어를 사용한 이벤트가 눈에 띄는데 웰다잉과 비슷한 '종활(終活)'에 대비되는 컨셉이다. '관활(棺活)'이란 자신이나 소중한 사람을 위한 관을 선택하는 것을 통해 평소에는 잘 의식하지 못했던 '죽음'을 마주함으로써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되돌아보고, 지금을 더 잘 살 수 있는 계기를 찾는 활동이라고 설명할 수있다. 자신이나 선물하고자 하는 분의 삶의 방식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벚꽃 디자인을 적용한 관, 쿠션감이 높은 부드러운 가죽 느낌의 소재로 만든 관 등 다양한 관을 준비하고 있다. 처음 열리는 '관 박람회'에서는 입관 체험과 관 선택 팁을 알려주는 워크숍을 통해 자신과 관을 선물하고 싶은 사람을 마주하고, 앞으로의 삶을 풍요롭게 살아갈 수 있는 깨달음을 제공해 준다는 컨셉이다. 산와물산 주식회사(대표이사: 니시카와 세이토)가 NPO법인 키즈밸리와의 콜라보레이션 기획으로 관 선택을 통해 지금을 더 잘 살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관활(棺活)페어'
21그램 반려동물 장례식장이 소풍을 테마로 한 ‘프리미엄 소풍 장례(이하 소풍 장례)’가 등장했다. 소풍 장례는 '21그램'이 국내 첫 진행하는 컨셉 장례 서비스다. 반려동물이 무지개다리를 건너는 것을 흔히 ‘마지막 소풍’이라고 표현하는 점에서 착안, 실제 소풍 분위기를 연출하는 들꽃 바구니와 소량의 간식을 담을 수 있는 소풍 가방 등 장례 용품으로 구성됐다. 21그램 관계자는 “서비스 이름처럼 무지개다리를 건너는 반려동물이 마지막 소풍을 떠나는 것처럼 연출함으로써 보호자에게 위로를 건네고자 서비스를 기획했다”며 “아이와의 이별이 두려운 죽음으로써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잠시 먼 소풍을 떠나는 것으로 인식되어 마음의 짐을 덜어드리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