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네트워크와 가족구성권연구소, 사회복지연구소 물결이 기존의 가부장적 장례식을 벗어나 다양한 가족 형태와 정체성을 포용하는 미래의 장례식을 상상해보는 ‘탈가부장:례식’ 전시가 많은 것을 생각케 하는 의미있는 행사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전시는 우선 현행법상 혈연과 결혼한 남녀로 구성된 ‘정상가족’만이 장례의 주체가 될 수 있는 현실을 드,러내 보인다.
현재 ‘가족관계등록에 관한 법’에 따르면, 사망신고는 우선 ‘동거하는 친족’이 해야 한다. 동거하는 친족이 없다면 ‘동거자나 사망장소의 관리자’ 등도 할 수 있다. 만약 연락이 닿는 친족이 없고, 혼자 살다가 사망한다면 아무리 친한 지인이라 해도 직접 신고할 수 없는 것이다.
사망진단서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자격을 정한 ‘의료법’은 더하다. 사망진단서는 환자의 ‘직계존속, 비속, 배우자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이 우선으로 받을 수 있고, 모두 없는 경우 ‘형제자매’가 대신 받는다. 함께 사는 친구나 퀴어 커플은 또 자연스레 제외된다.
전시는 비혼이나 동성부부 등을 배제하는 이같은 기존의 법들을 다시 써보자고 제안한다. ‘민법의 유언에 관한 규정에 따른 유언의 방식으로 지정한 사람’ ‘사망자가 사망하기 전에 장기적 지속적인 친분관계를 맺은 사람’ 등도 사망신고를 하고, 사망진단서를 받을 수 있게끔 하는 내용이 주제였다.
조금 ‘다른’ 장례식을 구체적으로 상상해볼 수 있게 도와주는 체험활동도 마련됐다.
가상의 상조업체 ‘무지개상조’는 아직 동성혼이나 생활동반자법이 통과되지 않은 현재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이들이 제공한다는 ‘원가족 소통서비스’는 현행법상 친족만 할 수 있는 사망신고 등의 서류 작업을 대리해준다. 수의 역시 성별에 따라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닌, 생전 고인이 좋아했던 옷으로 자유롭게 입을 수 있도록 한다.
현행 장례문화가 가진 불합리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당위성을 소리없이 주창한 전시 기획이 믿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