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2 (화)

  • 흐림동두천 14.2℃
  • 흐림강릉 15.2℃
  • 서울 15.3℃
  • 대전 16.9℃
  • 대구 16.8℃
  • 울산 19.0℃
  • 광주 19.0℃
  • 부산 19.5℃
  • 흐림고창 18.0℃
  • 흐림제주 24.0℃
  • 흐림강화 14.4℃
  • 흐림보은 17.0℃
  • 흐림금산 16.8℃
  • 흐림강진군 20.6℃
  • 흐림경주시 19.7℃
  • 흐림거제 20.1℃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장례의식, 까마득한 30만년 전에도 행해졌다?

“사실이면 인류 진화의 전제 바뀐다”

초기 인류가 시신을 땅에 묻고 벽을 꾸미는 등 장례 행위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고고학계가 술렁이고 있다.


5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 고인류학자 리 버거 박사가 이날 미국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콘퍼런스에서 ‘호모 날레디’(Homo naledi)에 대해 발표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호모 날레디는 버거 박사가 이끄는 탐사대가 2013년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인근 동굴 ‘떠오르는 별’(Rising Star)에서 유골 화석을 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날레디라는 명칭은 남아공 세소토어로 '별'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따왔다.


호모 날레디는 뇌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키는 150㎝, 몸무게는 45㎏에 불과하다. 유인원과 초기 인류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으며, 약 33만∼23만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돼 현생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와 공존했을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버거 박사는 동굴 추가 발굴 작업에서 타다 만 숯과 동굴 벽의 검댕, 불에 그을린 사슴 뼈 등을 발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호모 사피엔스와 아프리카 일부를 공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작은 뇌를 가진 초기 인류인 호모 날레디가 다양한 목적으로 불을 이용했다는 가설을 확신을 갖고 제기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번에 그는 “동굴 추가 조사 결과 호모 날레디가 시신을 매장했을 뿐 아니라, 벽에 상징을 새겨 무덤의 위치를 표시하기까지 했을 수 있다” 는 주장을 덧붙였다. 타원형으로 움푹 팬 땅속에서 발견된 완전한 유골 화석, 인근 벽에 기하학 무늬로 파인 흔적들이 근거다.

연구팀은 “주황색 진흙층이 무덤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데 그것은 무덤 안에서는 채취할 수 없었고, 가장자리도 깨끗하다”며 “단순 침식에 의해 유골이 가라앉았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설명이다.


또 연구팀은 유골 인근에서 불을 사용한 흔적을 통해 호모 날레디가 동굴로 들어가기 위해 불을 밝혔고, 의식을 위해 동물을 요리했을 수 있다는 해석을 추가했다. 연구팀은 벽화와 숯, 그을음 등 표본을 조사할 예정이지만, 이 작업은 수년이 소요될 수 있다.


연구팀의 일원인 미 프린스턴대 아구스틴 푸엔테스 박사는 “유골 수를 고려하면 이런 행위는 수백 년에 걸쳐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이런 관행이 복잡한 의사소통 없이는 만들어지기 힘들다는 점에서 일정 수준의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짚었다.

 

시신을 의도적으로 매장하는 건 현생 인류가 유일하게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오래된 무덤도 7만~9만년 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연구팀의 주장이 맞다면 24만~50만년 전 생존한 호모 날레디도 일종의 장례 행위를 한 셈이 되는 것이다.


NYT는 “연구팀의 주장이 사실로 확인되면 인류 진화에 대한 중요한 가정 하나가 뒤집힐 것”이라고 전했다. 고인류학자들은 뇌가 클수록 복잡한 사고가 가능하다고 추정해왔다. 그런데 뇌 크기가 현생 인류의 3분의 1에 불과한 호모 날레디가 장례를 치를 정도였다면 전제를 다시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계 일각에서는 현재까지 발견된 증거들만으로는 연구팀의 주장이 뒷받침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페인 인류진화연구센터의 마리아 마르티논-토레스는 “유골이 완전히 정렬된 상태가 아니었다”며 “이는 매장이 아니라 시신을 동굴 바닥에 두는 '캐싱'(caching)으로 봐야 한다”고 반박했다.


호주 인류진화연구센터의 마이클 페트라글리아도 구체적인 퇴적물 분석자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영국 더럼대 고고학자 폴 페티트는 유골이 동굴에 휩쓸려 들어갔을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공식제공]

 

 

 



배너

포토뉴스


고령자의 敵, 無爲로부터 벗어나자 -변성식 소장 고대로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가족과 사회의 주도권을 남성이 행사해온 가부장 제도가 시스템화되어 발전되어 왔다. 농업 사회의 형성과 함께 남성은 주로 경제적 생산과 외부 활동으로, 여성에게는 촉진적 역할로 가정 내 자녀와 가사에 집약적인 분업 구조가 형성되었고 구조적으로 남성 우위의 가부장제가 강화되어 왔다. 이 영향으로 남성들은 사회적 기대에 따라 강인해야 하고, 감정을 표현하거나 어색함을 드러내는 것을 금기시하게 만들고, 여성이 담당해온 부엌은 금남의 구역으로 각인시켰다. ​ 현대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의 물결은 성 평등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경제 구조의 변화, 교육 기회의 확대로 인한 남녀의 역할과 제도적 활동 영역의 확대로 커졌고 젠더 인식의 중요한 변화로 이어져 여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각 분야에 활발한 참여와 함께 누구나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자신의 능력에 맞는 역할을 인정받는 시대를 살고 있지만, 일부 고령의 남성들은 아직도 과거의 가부장적 관념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낯선 풍습과 맞서는 어려움을 온몸으로 마주하고 있다. 평생을 부인의 혹은 자녀들의 당연한 부양을 받아오던 몸에 밴 생활에서 어느 날 갑자기 혼자된 이들의 당황스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