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5.7℃
  • 흐림강릉 22.0℃
  • 흐림서울 26.6℃
  • 흐림대전 23.7℃
  • 구름많음대구 25.2℃
  • 구름많음울산 23.7℃
  • 구름많음광주 24.6℃
  • 구름많음부산 25.2℃
  • 흐림고창 23.8℃
  • 흐림제주 25.0℃
  • 구름많음강화 24.7℃
  • 구름많음보은 22.8℃
  • 구름많음금산 23.3℃
  • 구름많음강진군 25.1℃
  • 구름많음경주시 24.3℃
  • 구름많음거제 24.6℃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밥 한그릇 소주 한잔 하고 싶다", "부모님 산소 찾아 뵙고 절하고 싶다." "바다에 가고 싶다"

221시간 극적인 구조 순간 '고생했다, 수고했다' 부등켜 안고 울어 

"나오니까 좋네요. 갱도 안에서 서로 달래고 위로하고 그렇게 시간을 보냈어요."

 

지난달 26일 경북 봉화 광산 사고로 지하 갱도에 고립됐다 221시간만에 '기적의 생환'을 한 박정하(62) 씨는 구조 뒤 입원해 있던 안동병원에서 5일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당시 상황을 담담하게 전했다.

선산부(작업반장) 박씨는 후산부(보조 작업자) 박모(56) 씨와 함께 지하 190m의 갱도에 고립돼 있었다.

 

작업반장 박씨는 "처음 사고가 났을 때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릴 줄은 상상도 못 했다"며 "많은 분께서 힘 써주시고 응원해주셔서 이렇게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구조 당국과 국민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이어 그는 "뭘 해보든지 해보면 길은 있을 것이란 희망을 계속 가지고 (매몰된) 갱도 안을 돌아다녔다"며 "둘이 똑같이 한마음 한뜻으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들께 조금이나마 희망을 줄 수 있었다는 데서 저 역시 감사하다"며 "정부 기관에서 협조해주시고,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데 다시 한번 감사하고, 저희를 응원해주고 성원해주신 많은 분께도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다"고 거듭 감사 말을 전했다.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조장인 박 씨는 ‘갱도에 갇혀 있을 때 뭐가 제일 드시고 싶었냐?’는 물음에 “밥 한그릇 먹으며 소주 한잔하고 싶다”고 했고, 보조 작업자 박 씨는 “콜라와 미역국”이라고 답했다.

 

또 ‘구조 이후에 무엇을 하고 싶었냐?’고 묻자 조장 박 씨는 “부모님 산소를 찾아뵙고 절을 드리고 싶다”고 했고, 보조 작업자 박 씨는 “바다에 가고 싶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 지사는 "고립된 분들이 버텨냈고 현장에 있는 분들이 24시간 쉬지 않고 구조해 무사히 돌아오셨다"고 광부들과 구조에 힘쓴 이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극적인 구조순간 
'고생했다, 수고했다' 부등켜 안고 울어 


"광산 직원들의 외침이 들리던 곳에 도착하자 구조작업을 하던 직원들과 고립됐던 작업자 두 명은 서로 '고생했다, 수고했다'고 말하며 부둥켜안고 울고 있었다."

221시간만의 '기적의 생환' 첫 순간을 방 팀장은 이렇게 전했다.


방 팀장은 5일 연합뉴스에 구조 당시를 떠올리며 "막혀있던 갱도에 4일 오후 10시 40분께부터 공간이 생겼다"면서 "(구조작업을 하던) 동료 직원이 먼저 공간을 넘어서 안으로 들어 갔다"고 했다.

맨 앞에 있던 작업자가 "00형, 00형"이라며 생존자들의이름을 외쳤다.

 

방 팀장은 구조자들을 처음 만나을 때를 "의식이 명료하고 다들 건강해 대단한 상황이라고 느꼈다"고 돌이켰다.

 

방 팀장은 "당시 (구조대원이) 모두 흩어져 있어서 앞쪽에 있던 제가 먼저 가봤다"면서 "(고립자들을 만난 뒤) 나오지 마시라, 안정을 취하시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구조된 현장이 고립된 재난 상황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특이한 경우'로 처음 봤다"고 설명하며 구조상황이 일단락된 뒤 다른 대원을 불러 현장을 다시 촬영했다고도 덧붙였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구조 당시 생존자들은 사방에서 갱도들이 모이는 인터체인지 형태의 원형 장소에 비닐로 천막을 치고 모닥불을 피워놨던 상황이었다. 바닥에는 물에 젖지 않게 패널도 깔려 있었다.
 

 공식 제공

 

 

 



배너

포토뉴스


인생은 한 컷으로 남는다 -변성식 소장
존경하는 어르신들과 만남에서는 언제나 가슴에 담는 지혜의 말씀으로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기회가 된다. 인생 선배들의 지나가는 진지한 한 마디 말에는 年輪의 무게가 느껴지고 가슴에 남겨지는 것이 있어 매번 다음 만남이 설레이고 기다려지는 마음이 가득하다. 칠십이라는 연수를 처음 살아보는 나로서는 세월에 걸맞는 삶에 대해 숙고하며 나이듦에 따르는 여러가지 변화에 적응해야하는 요소들에 관한 강연을 業으로 하는 관계로 老年이라는 주제는 매우 진중함이 담겨야 하는, 살아 숨쉬는 철학적 고뇌가 뒤따라야만 하는 작업이다. 더우기 癌 투병으로 다양한 장애와 싸우며 지내는 生老病死의 막바지 고개를 넘어가는 현실에서의 화두는 '생의 마지막 모습'과 함께 '죽음과 죽음 이후'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 당면한 주제일 수밖에 없는 지금이기에 그 무게를 혼자 감당하기 부족한 것이 너무 많아 선배들과의 만남마다 깨달음의 기쁨을 누리고 있다. ​ 누구나 처음 살아보는 인생이고 그 연수일 것이기에 우리는 비틀대고 헤매이는 걸음을 걷게 된다. 삶에서의 빛나는 名譽와 富의 능력을 자랑하며 두려울 것없는 삶을 살아온 사람도 삶의 막바지에서는 예외없이 늙고 병들고 죽기 마련임에도 불구하고 한치 앞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