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영향으로 사망자가 급증하면서 전국적으로 '화장장 대란'이 빚어진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3일 "화장시설 확장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추모공원과 서울의료원 강남분원을 찾아 시신 안치실 등 장사(葬事)시설 운영 현황을 확인하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서울시는 1일부터 특별대책을 세우고 자정까지 화장시설을 운영하며 하루 232건의 화장을 시행하고 있다. 화장시설의 화장로 1기당 하루 운영 횟수는 평균 8.3회로 정부가 권장기준으로 제시한 7회를 웃돈다.
특별대책 도입 전인 지난달 16일부터 6∼7일장을 치르는 경우가 50%를 넘어 24일 58%로 정점을 찍기도 했다.
현재도 화장 수요를 따라잡지 못해 일반적인 장례 기간인 3∼4일장을 하는 경우는 19.5%(4일 추정치)에 그친다. 5일장이 61%로 가장 많고, 6∼7일장도 14%로 적지 않다. 이에 서울추모공원 측은 운영 횟수를 더욱 늘리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시신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저온 안치실 운영도 재개한다. 인터넷 화장예약을 시작한 2003년부터는 화장예약 시간에 맞춰 시신이 화장시설에 도착했기 때문에 저온 안치실을 가동하지 않았다.
시는 우선 폐원한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시설을 활용해 4일부터 30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저온 안치실을 운영한다. 7일까지는 50구를 안치할 수 있는 시설을 추가 설치하고 화장 수요에 따라 최대 150구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저온 안치실에는 무연고자를 임시 안치해 일반 장례식장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로 했다.
매일 이른 오전부터 자정까지 화장시설이 운영되다 보니 직원들도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서울추모공원 측은 직원들이 최장 3일을 연달아 근무하지 않도록 근무 관리를 하고 있다.
#화장대란 #오세훈시장 #서울의료원 #원지동추모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