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느닷없는 추모관 때문에 한인사회 발칵”

사할린 한인 이산가족의 아픔을 악용하는 사람들

“왜 남의 집 부모 위패를 허락 없이 만들어 와서 ‘무연고자 추모관’이란 간판을 걸어놓고는, 한국에서 오는 관광객들을 데려와서 향불을 피우도록 하는가는 겁니다? 도대체 저의가 뭐냐는 거지요?”

사할린한인협회 박순옥 회장이 한인협회 사무실에서 목소리를 높였다. 사할린한인협회는 유즈노사할린스크에 있는 한인문화회관 2층에 있었다. 이곳을 찾은 것은 2월21일이었다. 이날 저녁 유즈노사할린스크 악짜브리극장에서 열리는 ‘3.1운동 100주년 기념 평화통일 페스티벌’을 앞두고, 사할린 한인사회의 얘기를 듣자고 박 회장을 찾았을 때였다.

“우리 어머니 위패도 세워놓은 것을 봤어요. 우리가 집에서 제사도 잘 모시는데, 왜 남의 위패를 만들어 놓고, 우리 대신 향불을 피우는지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아요. 사할린이산가족협회 회장님은 거기에서 가족 5명의 위패를 확인했습니다.”



문제의 추모관은 사할린에서 수산업과 건설업 등을 하는 한국인 현모씨가 유즈노사할린스크 인근 농장에 만든 것이다. 현씨는 한국에서 만들어온 7,300명의 위패를 비치해놓고 ‘사할린 한인 추모관’이란 이름을 붙인 채 한국인 관광객들을 이끌어 들이면서 사할린 한인사회가 발칵 뒤집힌 것이다. 이 일에는 부산MBC도 한몫을 거들었다. 부산출신인 현씨의 소개로 작년 7월 사할린을 찾은 부산MBC는 현씨가 만든 추모관을 취재해 사할린 징용 무연고자 추모관이라고 소개했던 것이다.

“우리는 8월에 벌초를 하고 성묘를 한다고 말했어요. 그런데 부산MBC는 7월에 풀이 무성하게 자란 묘들을 찍어서는 무연고 묘라고 방영을 했어요.”

이 때문에 사할린 한인사회와 현모씨는 지금 소송이 진행 중이라고 한다. 박 회장과 사할린이산가족협회장 등이 “추모관을 없애고 사할인한인들한테 사죄하라”며 현씨를 고소한 것이다. “처음에는 사할린 징용한인 무연고자 추모관이라고 했다가, 이름을 두 번이나 바꿔서 지금은 ‘사할린 한인 추모관’이라 내걸었어요. 이게 추모관 입구를 찍은 사진입니다. 대문 위에 ‘백두산 꽃사슴 자연농장’이란 간판을 가로로 크게 붙이고, 그 아래 같은 ‘사할린 한인 추모관’이라고 또 간판을 붙였잖아요.”


박 회장은 “현씨가 우리를 얼마나 얕보았으면 이런 일을 벌이겠느냐”면서 사할린 한인사회가 이 때문에 크게 속상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현씨 추모관에는 징용과는 전혀 무관한 일본인들의 위패도 있고, 전후에 태어난 사람까지 있다”면서 “한국 정부가 2011년에 벌인 국외 강제동원 실태조사 자료를 넘겨받아 위패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박 회장은 1966년생으로 올해 53세다. 그의 부친은 강제모집으로 1939년 사할린에 왔다. 그의 부친은 오랫동안 독신으로 지내다가 뒤늦게 결혼해, 박 회장이 태어났을 때는 부친이 52살 때였다고 한다.

“1975년 한국으로부터 편지가 왔습니다. 그때 처음으로 사할린 한인들이 한국으로부터 편지를 받았습니다. 사할린 한인 90%가 남한에 고향을 둔 사람들입니다. 냉전으로 인해 오랫동안 고향소식을 들을 수 없었지요. 그때의 편지도 일본을 거쳐서 들어왔습니다.”

그의 부친도 편지를 받았다. 그리고는 고향이 그리워 울고불고 하다 6개월만에 타계했다고 한다. 박 회장이 열 살 때였다. 병명은 암이었다.

“사할린에는 1975년부터 77년 사이에 돌아가신 분이 많아요. 목을 빼고 기다리던 한국 가족 소식을 듣고는 아버지처럼 괴로워하다 돌아가신 거지요.”

박 회장은 아버지가 임종하고 10년이 더 지난 뒤 어머니로부터 “부산에 ‘큰어머니’가 계신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 그가 스무살이 되던 해였다. 그리고 1930년생인 터울 많은 언니가 부산에 살고 있다는 얘기도 들었다. 부친이 16살 때 태어난 딸이었다.

“언니와 처음 만난 것은 1997년이었습니다. 언니가 사할린을 찾아왔습니다. 알아볼 수 있을까 걱정했는데 공항을 빠져나올 때 바로 언니인 줄 알았습니다. 아버지 모습 그대로였어요.”

노보시비르스크대학 건축과 출신인 박 회장은 이 같은 개인적인 가족사를 바탕으로, 1997년부터 사할린이산가족협회 일을 돕기 시작한다. 그리고 6년간 이산가족협회 회장도 지낸 끝에 2016년 11월부터는 사할린한인협회장을 맡아, 한인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있다.

“사할린의 한인들은 광복이후에도 너무 오래 이산의 아픔을 안고 살아왔습니다. 지금은 한국정부가 1세들의 고국 귀환은 허용했지만, 귀국한 1세들은 자녀, 손자 손녀들과 떨어져 살고 있어요. 그래서 다시 돌아오고 싶어해요. 이처럼 다시 서로 새로운 이산의 세월을 보내고 있어요. 가족과 떨어져 살면서 행복할 수 있나요.”

박순옥 사할린한인회장의 뼈있는 항변이다. 그의 목소리는 사할린한인문화회관을 벗어나서도 한참이나 귓전을 맴돌았다. [출처 : 월드코리안뉴스(http://www.worldkorean.net)]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