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강화도 흥왕리 이궁터서 고려 건물터·석축 발굴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지난 9월 시작한 강화도 흥왕리 고려 이궁(離宮)터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 후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터와 석축(石築) 흔적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흥왕리 이궁은 고려가 강화도로 천도한 강도(江都, 1232∼1270) 시기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며, 강화읍에 조성된 고려궁지에서 남쪽으로 약 17㎞ 떨어졌다. 고려 고종 46년(1259) 산에 궁궐을 지으면 국가 기업(基業)을 연장할 수 있다는 교서랑 경유(景瑜) 진언에 따라 세웠다고 알려졌다.

.
2000년 선문대고고연구소가 지표조사를 진행해 궁궐 서쪽 경계로 판단되는 축대를 찾아냈지만, 발굴조사로 건물터가 드러나기는 처음이다. 연구소는 지표조사로 발견한 건물터 동쪽 평탄지 약 1천㎡를 조사해 건물터 3기를 찾았다. 조사 지역 남쪽에서는 동서 방향으로 석축을 쌓고, 안쪽에 장축 13m인 13세기 건물터와 배수로·남북 방향 석축을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터 북쪽에서는 동서 방향 또 다른 석축과 담장을 중복해서 축조한 양상이 드러나기도 했다. 나머지 건물터는 13세기보다는 늦은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만든 것으로 짐작되며, 그중 한 기는 가로 7.5m·세로 12m 크기다.
.

연구소 관계자는 "이번에 나온 시설물은 이궁터 중심부는 아니지만, 기록상으로만 전하던 이궁 존재를 고고학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급 자기가 몇 점 나오기는 했으나, 건물터 기능은 아직 알 수 없다"며 "주변에 사유지가 많은데, 유관기관과 협의해 학술조사 범위를 넓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배너

포토뉴스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