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침몰한 지 1073일 만인 23일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날 해양수산부는 이날 오전 3시45분쯤 “스태빌라이저로 추정되는 세월호 구조물 일부가 육안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스태빌라이저는 선박 양 측면에 날개 형태로 설치돼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장치를 말한다. 이어 "새벽4시47분 세월호가 해저면 높이 약 22m에 도달했다"며 "본체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1·2층 화물칸인 파란색 하부와 3·4층 객실, 5층 조타실·객실이 있는 흰색 상부 등 세월호 우현의 전체 모습이 해수면 위로 비교적 정확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선체에 써있던 'SEWOL(세월)'이는 글씨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선체는 3년의 세월을 보여주듯 전체적으로 부식되고 긁힌 모습이 눈에 띄었다.
.

.
해수부는 이날 오전 11시까지 세월호 상단을 수면 위 13m까지 인양해 안전지대에 있는 반잠수식 선박으로 옮겨 싣는 후속 인양작업까지 소조기와 맞물려 끝낼 계획이다. 해수부는 24일까지 세월호를 반잠수한 선박에 거치해 목포 신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 오는 4월 4~5일쯤 목포 신항에서 도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