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13.6℃
  • 맑음강릉 9.7℃
  • 맑음서울 12.8℃
  • 구름많음대전 14.9℃
  • 구름많음대구 13.2℃
  • 맑음울산 9.3℃
  • 구름조금광주 12.2℃
  • 맑음부산 10.9℃
  • 맑음고창 9.2℃
  • 흐림제주 10.2℃
  • 맑음강화 10.3℃
  • 구름많음보은 14.0℃
  • 구름많음금산 14.2℃
  • 구름많음강진군 11.8℃
  • 구름많음경주시 10.7℃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일본은 지금] 사랑이여, 죽음이여!! '요람에서 무덤으로' 현장

러브호텔이 장례식장으로, 저출산·고령화의 그늘

 

과거 일본 전역에서 성행했던 '러브호텔'이 저출산과 고령화로 최근 장례식장으로 개조되고 있다. 19일(현지 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일본 동부 사이타마현에 있는 한 러브호텔이 지난달 장례식장으로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러브호텔은 과거 1960년대 일본 정부가 매춘을 불법화한 후 매춘업소 대체 시설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 연인이나 공동주택에 거주 중인 부부가 개인적인 시간이나 프라이버시를 위해 사용하는 숙박업소로 인식이 변화, 1980년대 일본의 버블경제에 힘입어 급성장했다. 특히 일본의 러브호텔은 익명성 보장과 단시간 대여 등 편의성뿐 아니라 독특한 테마와 인테리어로 큰 인기를 끌었다.

 

화려한 내부 장식이나 영화, 애니메이션, 판타지 등 다양한 콘셉트로 꾸며진 객실이 많다. 사탕 가게, 궁전, 보트,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음악 시스템, 게임기, 대형 욕조 등 시설도 갖춰 여가 공간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러브호텔의 인기와 함께 '2차 베이비붐' 시대로 불리는 1971~1974년에는 일본 연간 출생아 수가 200만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러브호텔이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장례식장으로 바뀌고 있다. 사이타마현에 있는 한 러브호텔은 장례식장으로 바뀌면서 엄숙한 흰색으로 리모델링됐다. SCMP는 "우주선과 원더랜드를 주제로 한 장식이 유명했지만 이곳은 이제 천국에 온 듯한 분위기가 감돈다"고 전했다.

 

한 누리꾼은 "잘하면 같은 곳에서 삶을 시작하고 끝낼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진짜'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댓글을 달았다. 또 다른 누리꾼은 "나는 예전에 러브호텔이었던 곳에서 장례식을 치르고 싶지 않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 밖에도 "진짜 저출산이 심각하긴 한가 봐" "얼마나 장사가 안되면 저랬을까" "저렇게라도 해야지" "인구 감소는 돌이킬 수 없다" 등의 의견이 달렸다.

 

일본의 출산율은 2015년 이후 꾸준히 감소해 2024년 72만 988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5% 줄어든 수준이다. 반면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총무성은 지난해 9월 기준 일본의 노령 인구가 3625만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으며 특히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9.3%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2040년이 되면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34.8%를 차지할 것이라는 예상치도 나왔다.

 

이와 함께 러브호텔 수도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일본 경찰청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등록된 러브호텔 수는 2016년 5670개에서 2020년 5183개로 줄었다.

 

 

 

#일본러브호텔 #일본장례식장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