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지난 1년간 극심한 스트레스, 지속적인 우울감 등 정신건강 문제를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인 2022년 조사보다 정신건강 문제를 호소하는 국민이 늘었는데, 본인이 정신질환에 걸리면 친구들이 자신에게 등을 돌릴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도 절반이 넘어 정신건강 인식도 더 나빠졌다.
국립정신건강센터는 4일 전국 15∼69살 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3.6%가 ‘지난 1년 간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적 있다’고 답했다. 2022년 조사(63.9%)보다 9.7%포인트 늘었다. 국민 정신건강이 2년 새 더 악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22년 36.0%에서 올해 46.3%로 10%포인트 이상 늘었다. ‘수일간 지속되는 우울감’을 경험한 비율은 30.0%에서 40.2%로,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중독을 경험한 비율은 6.4%에서 18.4%로 크게 증가했다.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생각해본 적이 있다는 응답자도 직전 조사(8.8%)보다 늘어 14.6%였다.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도 더 나빠졌다. ‘내가 정신질환에 걸리면 몇몇 친구들은 나에게 등을 돌릴 것이다’라 응답한 비율은 2022년 39.4%에서 올해 50.7%로 크게 늘었고,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위험한 편이다’라 응답한 비율도 64.0%에서 64.6%로 증가했다.
‘정신과 치료를 받으면 취업 등 사회생활에 불이익을 받을 것이다’란 응답자도 2022년(61.5%)보다 늘어난 69.4%였다. 다만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 ‘정신질환은 일종의 뇌기능 이상일 것이다’라 응답한 비율도 늘어난 점은 인식이 개선된 부분으로 꼽힌다.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한 경우 도움을 요청했던 대상으론 가장 많은 사람들이 가족 및 친지(49.4%)를 꼽았다. 이어 정신과 의사(44.2%), 친구 또는 이웃(41.0%), 심리 또는 상담 전문가(34.3%) 등의 순이었다.
#정신건강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