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우리가 오르는 언덕" 바이든 취임식서 축시 낭송한 22세 흑인 시인

민주주의는 잠시 멈출 수는있어도, 영원히 패배할 수는 없다는 것 역시 목도했다.


말더듬 극복한 22세 흑인여성, 3937자 축시로 통합 노래

미국 대통령 취임식의 백미 중 하나는 축시 낭독이다.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1874~1963)도 87세 때인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취임식에서 자작시를 읽었다. 시대의 상징과 같은 시인에게 주어지는 영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한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선택은 달랐다. 올해 의회 취임식 연단에 선 인물은 막 22세가 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어맨다 고먼이었다. 미국 역사상 최연소 축시 낭독자다.

 

 

고먼은 바이든 대통령의 연설 바로 뒤에 등장했다. 그가 약 5분에 걸쳐 낭송한 ‘우리가 오르는 이 언덕(The Hill We Climb)’의 메시지 핵심은 통합이었다. 3937자에 갈등과 분열을 넘어 통합과 화합으로 가자는 메시지를 담았다. 바이든 대통령 부부를 포함한 모두가 경청했다. 낭독 후 고먼은 스타로 떠올랐다. 그의 트위터 팔로어는 낭독 전 4만8000명에서 110만 명으로 치솟았다.

 

고먼을 천거한 사람은 대통령 부인 질 바이든 여사였다고 한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부인 미셸 오바마는 페이스북에 “아만다, 계속 반짝반짝 빛나길 바란다”,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는 “또 다른 젊은 여성의 활약에 자랑스럽기 그지없다”는 글을 올렸다.


고먼은 10대였던 2017년 미국 젊은 시인상을 받았고, 하버드대에서 사회학을 전공했다. 시 낭독 전 자신을 “노예의 후예”라고 소개한 그는 인종차별 철폐와 페미니즘 활동가이기도 하다. “쩨쩨한 사람들의 편견에 갇히기 싫다”며 “2036년엔 미국 대통령 선거에 후보로 나서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2036년에 그는 37세다.
 
고먼과 바이든 대통령은 닮은꼴이다. 둘 다 어린 시절 말을 더듬는 장애를 극복했다. 고먼은 취임식 당일 실린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어린 시절 청각 장애로 말을 더듬었다. 사람들이 나를 나이지리아에서 막 이민 온 아이로 여기곤 했다”고 말했다. 고먼은 부단한 연습으로 어려움을 극복했다.
 
글쓰기 재능은 장애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찾아낸 축복이다. 고먼은 지난해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말을 하는 게 어려웠기 때문에 글 쓰는 데 집중했다. 하지만 여성으로서 글쓰기로 생계를 이어갈 수 있을지 고민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축시를 쓰는 건 당찬 22세에게도 쉽지 않았다. 통합이라는 메시지는 바이든 대통령 측에서 제시했고, 고먼은 처음엔 쉬울 것이라 생각했다고 NYT에 말했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 한 줄을 쓸 수 없었다고 한다. 고먼은 NYT에 “좋은 글을 써야 한다는 압박이 너무 강했다”고 털어놨다.
 
그러다 지난 6일 의회 폭동이 터졌다. 시위대가 의회를 점거하고 창문을 부수며 포효하고, 경찰이 희생되는 장면을 보며 고먼의 손가락은 키보드 위에서 춤추기 시작했다. 그는 그날 밤을 새워가며 시를 완성했다고 한다.  

.

 

우리가 오르는 이 언덕(축시 일부 발췌)


우리는 나라를 함께 공유하지 않고
나라를 찢으려는 힘을 목도했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잠시 멈출 수는
있어도, 영원히 패배할 수는
없다는 것 역시 목도했다.

그날이 오면,
우리는 불타오르는 그림자에서
두려움 없이 걸어 나오리라.
새로운 새벽은
우리가 스스로를 자유케 하리라.
빛은 언제나 존재한다.
우리가 그 빛을 직시할 용기가 있고,
스스로 그 빛이 될 용기가 있다면.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