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먼저이고 무엇이 나중인지 어떻게 해야할지 당황스럽기만할 뿐이다.
그것은 경험하지 못하고 준비하지 못한 황당함에 일어나는 당연한 현상이다.
그것은 현실성과 사회성의 다른 상황 때문이다.
그것이 우리가 사는 사회이고 관계자들이 정해놓은 규칙이다.
로마에 가면 로마의 법을 따라야 된다는 편리성과 합리성을 규정해 놓은 규칙이다.
장례의 풍습은 나라와 국민성 이념과 자연의 환경 등을 통하여 발전되고 정립되어 왔다.
특히 동양권의 우리나라는 유교적 풍습과 불교적 습성이 강한 것은 불교가 약 300년 정도에 들어오면서 유교와 불교의 오랜 역사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종교 중 천주교는 약 400년이 넘었다. 기독교는 약 130년이 조금 넘는다.
관혼상제 중 상례를 가장 중요시 했던 이유는 살아서 하는 의식인 관례와 혼례는 부족하면 다른것으로 대안을 세울 수 있고 제례는 형편이 어려우면 간소하게 하고 여유가 있을 때 풍족히 하면된다.
하지만 상례는 삶속에 마지막이며 평생의 단 한번뿐인 의식이다.
관례를 잘못하면 혼례 잘 하면 되고 혼례 잘못하면 기념일 잘하면 되고 살면서 할수 있는 기회가 많다.
상례는 다시 할수 없는 생의 마지막 의식이다. 잘못하면 평생 후회하며 살아야하는 두 번 할 수 없는 의식이기 때문에 집안의 어른 지인 등이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것이다.
조금이라도 소훌할까봐 도리를 잊고 대충하까봐 의심도 많고 눈여겨 보는 이들이 많다.
현실 앞에서 말들은 하지 않지만 뒤에서는 말도 많고 탈도 많다.
사람의 삶을 정리하는 장례는 장사를 치루는 동안 행하는 의식과 예절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살아있는 사람들이 죽음을 맞은 망자를 위해 한번뿐인 마지막으로 보내는 의례인 것이다.
삶이라는 것은 모든 것을 잘하고 살 수가 없다. 그것은 현실의 인간 관계가 스스로의 생각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생각대로 된다고 생각할지라도 생각에 근접할 뿐 생각대로 된 것이 아니다.
늘 부족함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생각은 이상속에 있고 현실은 충족되지 않는다.
요즘 결혼하는 예식장에 가보면 예식은 사라지고 축제만 남았다.
남는 자와 가는 자의 갈림길에서 망자를 보내는 의례인 장례식
요즘 장례의례 중 변례(變例)를 쫒는 잘못된 관행이 넘친다.
장례는 변례가 아닌 정례(定例)를 기준으로 삼고 현실의 상황에 맞게 조명되어야할 의례이다.
모든 예식은 살아있는 사람들의 의식이지만 장례식은 살아있는 자가 망자를 위한 보은의 도리이며 함께 했던 감사함과 아쉬움의 마음이 담긴 의식이며 단 한번의 예절이다.
한번쯤 인간대 인간으로서 고민하고 생각해야할 도리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