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인 1,200만 명이 가진 사실상 국민질환이지만, 보통 중년층 이상부터 나타나므로 2030세대에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질환이다.
혈압을 측정하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수치를 얻을 수 있는데,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Hg, 이완기 혈압이 80㎜Hg 미만이다. 수축기 140㎜Hg, 이완기 90㎜Hg을 넘으면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정상 혈압과 고혈압 사이에 있으면 ‘경계 혈압’이라고 부른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국내 20, 30대 성인 10명 중 1명은 고혈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 30대 고혈압 유병자는 126만여 명, 전단계 환자까지 합치면 약 338만여 명이 혈압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젊은 세대는 자신이 고혈압 환자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20, 30대에서 고혈압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5만여 명에 불과, 고혈압 유병자는 126만여 명에 비해 20%미만의 낮은 치료율을 보인다.
젊을 때부터 적절한 혈압 관리를 받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높은 혈압으로 인한 혈관 손상이 누적되어 시간이 지나면 심장병·뇌졸중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국내 250만 명의 20, 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수축기, 이완기 혈압이 각각 130㎜Hg, 80㎜Hg 이상일 경우 심장병과 뇌졸중 발생 위험이 20%정도 증가했다.
다만 고혈압을 발견한 후 5년 이내에 고혈압약 복용을 시작해 혈압 수치를 잘 조절하는 경우에는 위험도가 정상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압 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의 혈압 상태를 점는 것이다. 고혈압은 인지가 우선이고, 이후 약 복용, 생활습관 개선 등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최근 개정된 ‘2022년도 고혈압 진료지침’에서도 20세 이상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2년마다 고혈압 선별검사를 적극적으로 권고한다고 발표했다. 혈압이 높을수록 심뇌혈관질환 발생과 사망의 위험이 커지므로 약물·비약물적 치료로 혈압을 관리하면 그 위험 역시 낮출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 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일반건강검진을 20세 이상의 전체 국민으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20, 30대 젊은 세대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건강검진의 권리를 누리고, 건강위험을 조기에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긴 삶의 여정에서 가장 중요한 저축이자 투자이다. [출처 :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지부]
#고혈압 #2030고혈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