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19 (금)

  • 구름조금동두천 16.1℃
  • 흐림강릉 17.1℃
  • 구름조금서울 18.3℃
  • 구름많음대전 17.3℃
  • 흐림대구 16.4℃
  • 울산 15.7℃
  • 구름조금광주 16.4℃
  • 부산 16.0℃
  • 구름많음고창 16.3℃
  • 제주 17.1℃
  • 구름많음강화 16.8℃
  • 구름많음보은 17.3℃
  • 구름많음금산 16.5℃
  • 맑음강진군 17.0℃
  • 흐림경주시 16.1℃
  • 흐림거제 16.4℃
기상청 제공

국민에게 묻는다, 경제회복 아이디어 

대한상의,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7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취임 후 첫 프로젝트로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을 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코로나19로 경제도 위축되고 국민도 고통받는 상황서 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봤다”며 “국민 전체에 공모전을 통해 집단지성을 통한 아이디어를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 해서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 회장을 비롯해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이사,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공영운 현대차 사장 등 상의 회장단 17명은 지난달 만나 ‘민간 주도로 건강하고 다양한 혁신을 일으킬 때’라고 뜻을 모았다.

 

경제계가 구조적으로 해묵은 과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시민단체, 국민 등과 함께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이전과 다른 새로운 해법을 찾자는 것이다.

 

공모전은 상시 운영하고, 시상은 일 년에 한 번씩 이루어진다. 대상에 1억원의 상금을 비롯해 최우수 3명(각 3000만원), 우수상 3명(각 1000만원), 입선 3명(각 300만원) 등 총 상금 2억2900만원이 주어진다.

 

상의 외부 자문단이 1단계 서류심사를 하고, 기업인들이 나서 ‘2단계 CEO 멘토링’을 하게 된다. 3단계 오디션은 기업인 멘토링을 거친 10여개 팀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10여명의 다양한 심사위원과 국민이 참여한 ‘국민 오디션’ 방식으로 10개팀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배너

포토뉴스


나는 누구이며 어디에 서 있는가? -류재승 이사장
나는 누구인가? 황혼이 찾아오면 누구나 한번쯤 생각해 보는 이야기다. 나는 누구인가 어디서 왔기에 어디로 가는가. 열심히 살아 왔는데 인생을 회고하며 삶을 돌아본다. 가지고 갈것도 없는데 많은 욕심으로 남의 것을 내것으로 만들려고 그렇게 아귀다툼을 하며 살아 왔다. 현실은 인정보다 경쟁이라는 전쟁을 치루며 살아간다.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고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는 결국 눈뜬 소경이며 듣는 귀머거리가 되어 있다. 보인다고 다 보는 것이 아니며 듣는다고 다 진실이 아닌것 처럼, 인간의 삶을 가장 먼저 생각하고 살아야 함에도 인간은 간곳이 없고 돈을 좇고 돈의 역활에 자기 자신을 팔아 먹는 슬픈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인간의 삶은 한시적 삶이다. 어찌보면 기회의 시간 어찌보면 시험의 무대인 것이다. 살면서 모아논 모든 것들은 남겨진 자의 몫이다. 가지고 갈 것은 그 사람이 살아온 과거의 삶을 가지고 간다. 좋은 것은 좋은 결과를 나쁜것은 나쁜 결과를 결국 심판이란 살아온 삶을 심판 받는다는 것이다. 죄악을 지은자는 죄의 벌로 선함을 행한자는 선함의 보상이 따른다고 종교를 떠나 그렇게 기록하고 있다. 현실은 돈을 믿고 돈을 좇는다. 돈이 주는 보편적 가치보다 특별한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