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공공 봉안시설인 추모공원은 화장한 유골을 넣은 납골함을 땅 밑에 묻는 가족봉안묘, 실내 납골당인 봉안당, 실외 납골당인 벽식봉안담 등 총 12만 2798기가 조성돼 있다. 이 중 가족 봉안묘(1만6338기)는 현재 만장 상태여서 추가로 봉안할 수 없다. 봉안당(8만9468기)과 실내 봉안담(1만6992기)은 합쳐서 9600기 정도가 남아 있다.
또 공공 화장시설인 금정구 영락공원 내 가족봉안묘(2만9000기)와 납골당(8만4000기)에도 1만기 정도 남은 상태다. 그러나 이곳은 일부 시설이 낡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3000기뿐이다. 한해 6000기가 들어서는 것을 고려하면 2년 정도면 부산지역 공공 봉안시설이 사실상 꽉 차게 된다는 의미다.
오는 2035년 부산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00만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공공 봉안시설인 추모공원과 화장시설인 영락공원이 사실상 포화 상태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영락공원에 있는 화장로는 전체 15기(1기 예비)다. 하루 평균 70회, 최다 84회를 가동할 수 있다. 하지만 자리가 모자라 최근에는 ‘원정 화장’이나 ‘4일장 혹은 5일장’을 치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실제 지난해 8월에는 3일장 비율이 50%까지 떨어지고 4일장은 41%까지 늘어났다.
이후 9~12월 3일장 비율은 60%대에 머물렀고, 같은 기간 4일장은 25~29%대를 보였다. 계절적인 요인을 제외하면 고령화로 인한 화장장 부족 때문에 생긴 일이라는 분석이 많다. 현재 영락공원 1년 화장 가능 건수는 2만 5410건이다. 하지만 증가 추이를 보면 2027년이면 화장 건수가 2만 5662건이어서 연간 처리 건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는 3월 준공을 목표로 추모공원 내 벽식봉안담 5200기를 신설하는 것을 시작으로 공공 봉안시설 확충에 나섰다. 올해 중 105억원을 투입해 부산추모공원 1개 층을 증축해 봉안당 2만7000기, 내년에 추모공원 내 5000㎡ 규모의 봉안묘 1만1000기도 추가로 늘릴 계획이다. 또 영락공원 내 화장로도 2026년에 예산을 확보해 4기를 추가로 늘릴 예정이다.
통계 추이를 보면 203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50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43.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해 부산의 고령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부산시는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노인과 신중년을 포함한 지역 장노년을 대상으로 인구·가구, 건강, 소득보장, 대인관계, 생활환경, 사회환경 등 8개 분야 100개 통계 항목을 조사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봉안·화장시설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중장기 대책을 세워 부족한 시설을 확충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