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6 (화)

  • 맑음동두천 20.3℃
  • 흐림강릉 20.5℃
  • 서울 20.7℃
  • 흐림대전 21.5℃
  • 대구 20.9℃
  • 울산 21.2℃
  • 흐림광주 24.8℃
  • 흐림부산 23.3℃
  • 구름많음고창 24.2℃
  • 맑음제주 28.0℃
  • 구름조금강화 20.1℃
  • 흐림보은 20.1℃
  • 흐림금산 21.2℃
  • 구름많음강진군 26.6℃
  • 흐림경주시 21.6℃
  • 구름많음거제 24.3℃
기상청 제공

빨리빨리 새벽을 달리던 쿠팡, '아마존'을 향해 도전장

뉴욕중시 상장 첫 날, 시총 100조 기업 우뚝…김범석 “한강의 기적”

빨리빨리 정신, 새벽을 달리던 쿠팡이 '아마존'을 향해 도전장을 내밀었다.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소식이 전세계를 달궜다. 상쾌,통쾌, 유쾌한 뉴스다,.

 

South Korean e-commerce giant Coupang tops $84 billion market cap after soaring in market debut

 

 

쿠팡이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다.

상장 첫날 쿠팡 주식은 공모가인 35달러에서 40.71%(14.25달러) 오른 49.2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시초가는 공모가에서 81.4% 상승한 63.50달러였다.

 

쿠팡은 이번 기업공개(IPO)에서 45억5000만달러(약 5조1678억원)를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은 IPO로 조달한 자본을 어디에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새벽배송과 같은 혁신에 계속 투자할 것”이라며 “한국의 지역 경제에 투자해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술 투자도 계속하겠다”고 언급했다.

 

Coupang, the Amazon of South Korea, debuts on NYSE

 

 

쿠팡의 화려한 데뷔에 외신들도 주목했다. 야후 파이낸스는 쿠팡 상장에 대해 “7년 전 알리바바 이후 아시아 기업 최대 규모 IPO이자 2019년 우버 이후 미국 증시에서 기록한 최대 규모 IPO”라고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하버드 중퇴생이 설립한 스타트업이었던 쿠팡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온라인 쇼핑 시장 중 하나인 한국에서 전자상거래를 혁신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했다. 또 “‘빨리빨리’에 집착하는 한국에서 쿠팡의 당일배송과 새벽배송은 누구나 아는 이름이 됐다”고 지적했다.

 

쿠팡의 시가총액은 종가 기준으로 886억5000만달러(한화 약 100조4000억원)를 기록했다. 쿠팡 IPO는 2019년 우버 이후 뉴욕증시 최대 규모다. 2014년 알리바바 이후 미국에 상장된 최대 규모 외국 기업이 됐다.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이날 오전 NYSE에서 쿠팡 상장을 알리는 오프닝벨 행사에 참석, CNBC방송과 인터뷰에서 “알리바바 이후 최대 외국기업 IPO라고 한다. 이는 한국의 성공 스토리의 증거”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한국이 1960년 1인당 국내총생산(GDP) 79달러에 불과했던 가난한 나라에서 오늘날 세계 10위권 경제국이 됐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국인들의 창의성이 ‘한강의 기적’을 만들었다”며 “우리가 이 믿을 수 없는 이야기의 일부가 된 것이 흥분된다”고 소회를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코로나19 팬데믹 수혜 기업들에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는 가운데 쿠팡이 뉴욕 증시 IPO에 성공했다”며 쿠팡이 올해 최대 IPO 기록을 세운 데이팅 앱 ‘범블’을 단숨에 뛰어넘었다고 강조했다.

 

쿠팡이 최고 실적 IPO를 기록함에 따라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도 상당한 투자이익을 거두게 됐다. 소프트뱅크 측은 2015년과 2018년에 모두 30억달러를 투자해 기업공개 후 클래스A 기준 지분 37%를 보유하게 된다.


 



배너

포토뉴스


인생은 한 컷으로 남는다 -변성식 소장
존경하는 어르신들과 만남에서는 언제나 가슴에 담는 지혜의 말씀으로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기회가 된다. 인생 선배들의 지나가는 진지한 한 마디 말에는 年輪의 무게가 느껴지고 가슴에 남겨지는 것이 있어 매번 다음 만남이 설레이고 기다려지는 마음이 가득하다. 칠십이라는 연수를 처음 살아보는 나로서는 세월에 걸맞는 삶에 대해 숙고하며 나이듦에 따르는 여러가지 변화에 적응해야하는 요소들에 관한 강연을 業으로 하는 관계로 老年이라는 주제는 매우 진중함이 담겨야 하는, 살아 숨쉬는 철학적 고뇌가 뒤따라야만 하는 작업이다. 더우기 癌 투병으로 다양한 장애와 싸우며 지내는 生老病死의 막바지 고개를 넘어가는 현실에서의 화두는 '생의 마지막 모습'과 함께 '죽음과 죽음 이후'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 당면한 주제일 수밖에 없는 지금이기에 그 무게를 혼자 감당하기 부족한 것이 너무 많아 선배들과의 만남마다 깨달음의 기쁨을 누리고 있다. ​ 누구나 처음 살아보는 인생이고 그 연수일 것이기에 우리는 비틀대고 헤매이는 걸음을 걷게 된다. 삶에서의 빛나는 名譽와 富의 능력을 자랑하며 두려울 것없는 삶을 살아온 사람도 삶의 막바지에서는 예외없이 늙고 병들고 죽기 마련임에도 불구하고 한치 앞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