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6.4℃
  • 구름많음강릉 9.1℃
  • 서울 7.7℃
  • 대전 10.3℃
  • 구름조금대구 12.9℃
  • 맑음울산 11.8℃
  • 구름많음광주 11.6℃
  • 구름많음부산 11.8℃
  • 흐림고창 9.8℃
  • 맑음제주 13.9℃
  • 구름많음강화 7.2℃
  • 맑음보은 10.0℃
  • 흐림금산 10.4℃
  • 맑음강진군 11.9℃
  • 구름조금경주시 12.0℃
  • 구름많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골든에이지

고령화 영향, 의료보장 진료비 1인당 연 125만원

의료보장(건강보험+의료급여)을 적용받은 가입자 1인당 연간 진료비는 전년비 6.4% 오른 125만원으로 집계됐다. 의료보장 총 진료비는 64조8300억원으로 전년비 7.0% 증가했다.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포함한 의료보장 적용인구의 전국 시군구별 의료이용 현황을 수록한 '2015년 지역별의료이용통계연보'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통계연보는 의료보장 적용인구와 진료실적 현황, 주요 암질환 및 만성질환 현황, 다빈도 상병환황 등 총 9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지역별 의료이용 전반에 대한 통계를 확인하는 지표로 쓰인다. 의료보장 총 진료비는 매년 12.5%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보장받는 인구가 매년 0.6% 수준으로 오르는 측면도 있지만, 인구 고령화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
실제 전국 지역별로 진료비 추이를 살펴본 결과, 65세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들의 1인당 월 평균진료비가 높았다. 전북 부안군이 19만2995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남 고흥군이 19만1047원, 전북 고창군 18만4831원, 경남 의령군 18만4480원 등 순이다. 이 지역들의 65세이상 의료보장인구 비율은 각각 28.5%, 36.4%, 30.0%, 31.6%로 전국 평균인 12.9%를 크게 상회했다. 반면 월 평균진료비가 가장 낮은 지역은 1인당 진료비 7만1447원으로 집계된 수원 영통구로 조사됐고, 계룡시가 7만5505원, 화성시 7만9493원, 용인 수지구 8만239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65세 의료보장인구비율은 각각 5.4%, 7.4%, 7.9%, 10.7%로 전국 평균에 못미쳤다.
또 의료보장인구 10만명당 303.2명은 위암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유방암(285.2명), 대장암(272.4명) 순이다. 위암 진료를 가장 많이 받는 지역은 10만명당 기준으로 함양군이 756.3명으로 가장 많았고, 보은군 713.0명, 보성군 697.2명 순이었다. 수원영통구와 창원성산구, 시흥시 등은 각각 173.9명, 201.1명, 203.6명으로 전국 위암진료 평균에 크게 낮았다. 의료보장을 받는 환자 62.7%는 관내 요양기관을 방문했다. 이는 전체 입·내원일수를 분석한 결과로 총 10억7776일의 진료시간 가운데 관내 요양기관 이용일수는 6억7590일로 집계됐다.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