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6 (화)

  • 맑음동두천 18.0℃
  • 구름많음강릉 18.9℃
  • 서울 18.9℃
  • 대전 19.3℃
  • 흐림대구 20.1℃
  • 울산 20.6℃
  • 흐림광주 22.9℃
  • 흐림부산 23.3℃
  • 흐림고창 22.4℃
  • 구름많음제주 23.1℃
  • 구름많음강화 18.2℃
  • 흐림보은 19.1℃
  • 흐림금산 19.2℃
  • 흐림강진군 22.7℃
  • 흐림경주시 20.4℃
  • 흐림거제 21.6℃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사기조장 GPT 급속도 업그레이드, 고액 유료배포도

교육 의료 등 공공 서비스에 심각한 타격 줄 수도


인도의 데이터 및 사이버보안 전문 넷엔리치가 생성 AI 도구인 '사기GPT'를 발견했다고 공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생성 인공지능(AI)을 악용하는 갖가지 수법이 등장하는 가운데 초보자도 사용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용 도구 '사기GPT(FraudGT)'가 등장했다는 것이다. 최근 발견된 웜GPT와 비슷한 형태인데, 이번에는 월정액제로 버젓히 돈을 받고 서비스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에 따르면 사기GPT는 악성 코드와 멀웨어, 설득력있는 피싱 메일 등을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도구로, 특히 초보자도 고급 사이버 공격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 취약점이나 카드 사기가 가능한 사이트를 발견해주고, 해킹 수법 및 사이버 범죄에 대한 조언까지 제공해준다고 홍보하고 있다.

 

특히 한달에 200달러(약 26만8000원)부터 1년 1700달러(약 228만원)까지 구독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이 도구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캐나다킹핀12 그룹'이라는 단체는 텔레그램 채널을 개설, 사기GPT를 활용한 실제 사례에 대한 동영상도 공개했으며 7월 현재 구독자가 3000명 이상이라고 주장했다.  또 자신들은 다양한 다크 웹 시장에서 검증된 믿을만한 공급 업체라고 밝혔다. 

 

사기GPT로 국가 안보를 위협하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교육이나 의료 등 공공 사비스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존 밤베넥 넷엔리치 수석 보안책임자는 "사기GPT는 오픈소스 AI 모델을 기반으로 가드레일을 무력화해서 구축했을 것"이라며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일 가능성이 높지만, AI의 오용을 막기 위해 앞으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난달에는 피싱 메일 생성과 배포를 돕는 사이버 범죄용 AI 챗봇 '웜GPT(WormGPT)'가 등장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사이버 보안회사 슬래시넥스트에 따르면 웜GPT는 비영리 오픈소스 그룹인 일루서AI가 출시한 'GPTJ'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 7월초 공개해 수천 건의 피싱 메일 배포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사기GPT 

 



배너

포토뉴스


인생은 한 컷으로 남는다 -변성식 소장
존경하는 어르신들과 만남에서는 언제나 가슴에 담는 지혜의 말씀으로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기회가 된다. 인생 선배들의 지나가는 진지한 한 마디 말에는 年輪의 무게가 느껴지고 가슴에 남겨지는 것이 있어 매번 다음 만남이 설레이고 기다려지는 마음이 가득하다. 칠십이라는 연수를 처음 살아보는 나로서는 세월에 걸맞는 삶에 대해 숙고하며 나이듦에 따르는 여러가지 변화에 적응해야하는 요소들에 관한 강연을 業으로 하는 관계로 老年이라는 주제는 매우 진중함이 담겨야 하는, 살아 숨쉬는 철학적 고뇌가 뒤따라야만 하는 작업이다. 더우기 癌 투병으로 다양한 장애와 싸우며 지내는 生老病死의 막바지 고개를 넘어가는 현실에서의 화두는 '생의 마지막 모습'과 함께 '죽음과 죽음 이후'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 당면한 주제일 수밖에 없는 지금이기에 그 무게를 혼자 감당하기 부족한 것이 너무 많아 선배들과의 만남마다 깨달음의 기쁨을 누리고 있다. ​ 누구나 처음 살아보는 인생이고 그 연수일 것이기에 우리는 비틀대고 헤매이는 걸음을 걷게 된다. 삶에서의 빛나는 名譽와 富의 능력을 자랑하며 두려울 것없는 삶을 살아온 사람도 삶의 막바지에서는 예외없이 늙고 병들고 죽기 마련임에도 불구하고 한치 앞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