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3 (토)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6.6℃
  • 맑음서울 16.5℃
  • 구름많음대전 14.6℃
  • 흐림대구 15.6℃
  • 구름많음울산 17.6℃
  • 흐림광주 16.8℃
  • 구름많음부산 19.5℃
  • 흐림고창 14.5℃
  • 구름많음제주 22.8℃
  • 구름많음강화 15.8℃
  • 구름조금보은 12.3℃
  • 구름조금금산 13.1℃
  • 구름많음강진군 16.4℃
  • 구름많음경주시 14.6℃
  • 구름많음거제 17.9℃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결혼식과 장례식 모두 가능한 시설 트렌드

<세계는지금>일본대형상조그룹 베르코, '마음과 음식을 통해 만남을 더욱 뜻깊게' 컨셉

일본의 최대 상조그룹인 베르코가  '웨딩'과 '장례' 모두 가능한 시설 오픈,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7월에 베르코 그룹 최초가 되는 「관혼」과「신규장제」의 양쪽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창안 이야기 시온」에 기타큐슈시 하치망토구(北九州市)시 하치망)에 소재하고 있다.

 

 '창안이야기지음'('創案物語 SHION志音')은 지상 3층 규모로 7개의 리셉션 홀을 갖추고 병설 채플(생미셸 교회)에서 결혼 피로연, 소규모 식사 모임과 회의, 각 종파 대응 법요(가족장 포함)도 치를 수 있는 8개의 방을 갖추고 있다. 또 방마다 식물의 이름을 사용하여 네이밍에 맞게 코디했다.

 

'창안이야기 시온'에서는 신종 코로나 감염증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여 모두 완전 개인실 전세 스타일로, 한편으로는 '음식'을 고집한 운영을 하는 회관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창안 이야기 시온의 콘셉은 '관혼'과 '장제'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시설이다

베르코는 창업 이래, 베르코 그룹 일체로서 지역 주민들에게 밀착할 수 있도록 전국 각지에 장의등을 중심으로 한 다목적 회관 445개소(직영 222개소), 예식장 37개소(전부 직영)를 신설·운영해 왔다.

 

그러나, 사람들의 관혼상제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나 관습의 재검토와 함께, 요즈음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도 있어, 관혼상제가 소인원화·다양화되고 있는 현상을 근거로 했다.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생각을 「관혼」과 「장제」에 구애받지 않고도 구현화할 수 있는 시설, 안전·안심 시설인 것을 바탕으로, 「관혼」과 「장제」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시설인 것을 중시한 바 있다. 

 

 

'창안이야기지음'에서 관혼상제라는 의식에 모여 주시는 '마음(테마)'뿐만 아니라, 거기서 제공되는 '음식'에 더욱 신경을 써서 '음식'을 통한 보다 나은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시설로 만들고 싶다. 

·'창안이야기'에는, 음식을 통해, 사람들의 만남과 추억을 이 장소에서 하나부터 만들어 나가자는 바람을 담고 있다.

 

 「지음」에는, 뜻을 가지고 모이는 사람들을 「음식」과「소리」로 「대접」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컨셉이다. 

 

'창안이야기 시온'에서는 신종 코로나 감염증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여 모두 완전 개인실 전세 스타일로, 한편으로는 '음식'을 고집한 운영을 하는 회관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출처 : 베르코 

 

 



배너

포토뉴스


인생은 한 컷으로 남는다 -변성식 소장
존경하는 어르신들과 만남에서는 언제나 가슴에 담는 지혜의 말씀으로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기회가 된다. 인생 선배들의 지나가는 진지한 한 마디 말에는 年輪의 무게가 느껴지고 가슴에 남겨지는 것이 있어 매번 다음 만남이 설레이고 기다려지는 마음이 가득하다. 칠십이라는 연수를 처음 살아보는 나로서는 세월에 걸맞는 삶에 대해 숙고하며 나이듦에 따르는 여러가지 변화에 적응해야하는 요소들에 관한 강연을 業으로 하는 관계로 老年이라는 주제는 매우 진중함이 담겨야 하는, 살아 숨쉬는 철학적 고뇌가 뒤따라야만 하는 작업이다. 더우기 癌 투병으로 다양한 장애와 싸우며 지내는 生老病死의 막바지 고개를 넘어가는 현실에서의 화두는 '생의 마지막 모습'과 함께 '죽음과 죽음 이후'의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 당면한 주제일 수밖에 없는 지금이기에 그 무게를 혼자 감당하기 부족한 것이 너무 많아 선배들과의 만남마다 깨달음의 기쁨을 누리고 있다. ​ 누구나 처음 살아보는 인생이고 그 연수일 것이기에 우리는 비틀대고 헤매이는 걸음을 걷게 된다. 삶에서의 빛나는 名譽와 富의 능력을 자랑하며 두려울 것없는 삶을 살아온 사람도 삶의 막바지에서는 예외없이 늙고 병들고 죽기 마련임에도 불구하고 한치 앞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