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위안부 할머니들 셋방살이 떠나 새 둥지

제67주년 광복절을 맞아 한국교회가 뜻깊은 일을 했다. 서울에 살고 있는 일본군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셋방살이’에서 벗어나는 데 힘을 보탠 것이다. 14일 한국교회희망봉사단(이사장 손인웅 목사·사진)에 따르면 현재 서대문구 충정로에 있는 위안부 할머니 쉼터 ‘우리집’이 마포구 연남동에 새 둥지를 구해 이르면 9월 옮겨간다. 2003년 12월 문을 연 ‘우리집’은 2개 층에 방 6개짜리 공간으로 이순덕(95)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3명이 살고 있다. 현재의 ‘우리집’은 1978년 지은 낡은 건물이라 여름이면 천장에서 비가 새기 일쑤다. 전세로 임차해 쓰고 있어 할머니들은 ‘셋방살이’를 면하지 못했다. 최근 주변 지역이 재개발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건물을 비워 달라”는 통지를 받기까지 했다.

‘우리집’ 이전은 올해 초 강동구 명성교회가 “위안부 할머니를 돕는 데 써 달라”며 봉사단에 15억원을 기부하면서 성사됐다. 봉사단은 이 기부금을 포함해 총 16억여원을 들여 연남동 주택을 구입한 뒤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무상임대키로 했다. 새 ‘우리집’은 부지 315㎡에 건물 211㎡(약 64평) 규모로 지하 1층, 지상 2층의 단독주택이다. 방이 7개라서 기존에 거주하던 할머니 3명 외에 다른 지역 할머니들도 원하면 함께 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거동이 불편한 할머니들을 위해 1·2층을 오가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등 공사가 진행 중이다. 봉사단은 앞서 7월25일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032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여해 이 같은 내용을 설명했다.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는 “21년 전 할머니들이 용기를 내 일본대사관 앞에서 작은 외침을 시작한 것이 전 세계에 엄청난 울림과 감동을 줬다”며 “할머니들의 외침은 진실이 알려지고 왜곡된 역사가 정의로 바로 잡히길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담은 것”이라고 말했다. 김 목사는 “위안부 할머니 생존자가 60여명밖에 남지 않은 지금 우리가 이 외침을 맡아 함께 외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봉사단은 할머니들이 살아 있는 동안 생활비 등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봉사단 사무총장 김종생 목사는 “할머니 대부분이 고령이고 건강이 안 좋은데,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은 감감무소식이니 분통이 터진다”며 “할머니들이 생존해 있는 동안 잊지 않고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