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림, 4900억원

숫자(數字)는 수사(修辭)보다 더 설득력이 있다. 미술의 세계에서도 그렇다. 예를 들어 ‘세기의 명작’,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는 말보다 ‘저 작품은 1000억원’이라는 숫자가 보통 사람들에게는 더 와 닿는다. 가격이 곧 작품 가치는 아니다.

 

그러나 얼마짜리로 인정받았는지는 작품의 가치를 알려주는 중요 척도 가운데 하나다. 미술 시장에 나온 그림 중 가장 비싼 그림은 무엇일까. 

 


‘억’소리 나는 그림들, 누가 샀을까 ‘비즈니스인사이더'는 2019년 ‘지금까지 팔린 그림 중 가장 비싼 그림 16점(The 16 most expensive paintings ever sold)'이란 기사를 실었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림 TOP16


1위 ‘살바토르 문디’ - 레오나르도 다빈치 : 4억5030만달러
2위 ‘인터체인지’ - 윌렘 드 쿠닝 : 3억달러
3위 ‘카드놀이 하는 사람들’ - 폴 세잔 : 2억5000만달러
4위 ‘언제 결혼하니?’ - 폴 고갱 : 2억1000만달러
5위 ‘넘버 17A’ - 잭슨 폴록 : 2억달러
6위 ‘넘버 6(바이올렛, 그린&레드)’ - 마크 로스코 : 1억8600만달러
7위 ‘마르텐 솔만스와 오프옌 코피트의 초상’ - 렘브란트 : 1억8000만달러
8위 ‘알제의 여인들(버전 O)’ - 파블로 피카소 : 1억7940만달러
9위 ‘누워 있는 나부’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 1억7040만달러
10위 ‘마스터피스’ - 로이 리히텐슈타인 : 1억6500만달러
11위 ‘누워있는 나부(왼쪽으로 기댄 나부)’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 1억5720만달러
12위 ‘꿈’ - 파블로 피카소 : 1억5500만달러
13위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 II’- 구스타프 클림트 :1억5000만달러
14위 ‘루시안 프로이트의 세 가지 습작’ - 프란시스 베이컨 : 1억4240만달러
15위 ‘넘버 5, 1948’ - 잭슨 폴록 : 1억4000만달러
16위 ‘여인 III’ - 윌렘 드 쿠닝 : 1억3750만달러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