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K to KING-Official Declaration of *KING = K + ING* The K Logo wearing a crown has finally been declared the King of Logos. Its name is none other than the “KING LOGO.” The copyrighted “K Logo” has now been reborn as a new brand philosophy with the formula “KING = K + ING,” a declaration that will be remembered in the history of global branding. ■ KING LOGO Shines on Lotte World Tower and Namsan Tower This declaration was not just rhetoric, but was brought to life on the city’s landmarks. On the facade of Seoul’s landmark Lotte World Tower, the phrase “LOGO KING = K + ING” was boldly displ
최근 소상공인들이 복합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제는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문화와 경험을 결합한 '플랫폼형 자영업'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 기존의 소상공인들은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소상공인들도 복합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인구 변화와 경제 환경 변화는 물론, 온라인 플랫폼의 확대로 인해 골목상권이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소상공인들은 생존을 넘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게 되었고, 그 결과물이 바로 '소상공인 2.0', 즉 '플랫폼형 자영업'으로의 진화다. 이는 단순히 제품 판매를 넘어, 공간 자체를 '플랫폼'처럼 활용하여 문화와 경험, 관계와 콘텐츠를 결합하는 형태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업은 어떻게 하는거야? ☞ 카페에서 커피만 파는 것이 아니라, 독서 모임이나 문화 강좌를 열거나, 작은 전시회를 기획하여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소통의 장을 만드는 추세,. 이를 통해 고객은 단순히 커피만 즐기는 것을 넘어, 공간에서 특별한 가치와 즐거움을 얻게 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소상공인들의 판매 디지털 전환
소상공인들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가운데 비용 효율화 및 절감, 온라인 플랫폼에의 접근, 경영 개선 교육 및 컨설팅 활용 등 대책 등 가운데 가장 유의할 만한 방법은 '자체 역량강화와 자기계발' 이다. 이런 가운데 중소상공인들의 환영을 받을만한 애로 비즈니스플랫폼을 내놓아 환영을 받고 있다. 주식회사씨이오포털(대표: 김강우)에서 출시한 '맞춤형 비즈니스 플랫폼 'CEO 포털'이 그것이다. [출처 : CEO포털 홈페이지 ] 'CEO포털'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올인원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노무, 세무, 법률 전문가 연결부터 차량리스, 가전렌탈, 인터넷 설치까지 경영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복잡한 절차 없이 필요한 서비스의 신청과 전문가 상담을 간편하게 지원한다. 소상공인들을 위한 통합 플랫폼 'CEO포털'을 출시한 김강우 대표는 수년간의 현장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소상공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직접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며 현장의 필요성을 반영했다. 이를 께기로 전국 온라인네트워크를 통한 대대적인 보급에 나섰는데 다양한 분야 중소 사업자들의 환영을 받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K-헬스미래추진단(한국형ARPA-H추진단, 추진단장 선경)은 6월 9일(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2025년 2차 신규 프로젝트 7개를 발표하고 연구개발과제를 공고했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담대한 도전을 통해 국가 난제를 해결하고 의료·건강 서비스의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는 국민 체감형 연구개발 사업이다. 정부는 2024년에 총 10개의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25개의 연구개발과제를 선정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 5월 9일(금)에는 1차로 3개의 신규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연구개발과제를 공고한 바 있다. 이번에 공고하는 7개 프로젝트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주요 5대 임무중 ▷미정복질환 극복, 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복지·돌봄 개선 분야 난제를 해결하고자 기획하였다. 이번 공고 이후에도 해결이 필요한 국가적 보건난제를 지속해서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추진할 예정이다. ▶신규 과제 주요 내용 ① “미정복 질환 극복” 임무 미정복 질환 극복 임무에서는 지금까지 암 극복을 위한 3개의 프로젝트를 발표해왔으며, 이번
마쿠하리 멧세에서 'JapanDrone(재팬드론) / 차세대 에어모빌리티 EXPO 2025'가 개막했다.일본UAS산업진흥협의회(JUIDA)와 콩그레가 주최하는 재팬드론은 산업의 경계를 넘어 드론 관련 상품이 한자리에 모이는 종합 박람회로 6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개최된다. 재팬드론은 올해로 개최 10년째를 맞이했다.개회식에서 JUIDA 스즈키 신지 이사장은 "지난 10년간 사회 구현을 위한 규제 완화, 법 개정, 안전 운용을 위한 규칙 제정 등 민관 연구기관의 다양한 노력으로 드론 비즈니스 시장은 크게 변화해왔다.앞으로의 10년을 내다보며 전시회에 최신 드론 기술과 솔루션을 한자리에 모아 관람객들이 직접 접하고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개최되는 차세대 에어모빌리티 엑스포에 대해서도 "하늘을 나는 자동차로 대표되는 하늘의 자동 혁명을 향한 사회 구현에 대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도시와 연결되는 차세대 에어모빌리티'를 주제로 한다"고 밝혔다.오사카-간사이 만국박람회 이후 사회 구현을 염두에 둔 최신 기술과 서비스가 소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행사장에는 첫날부터 많은 관람객이 찾아와 전시품인 물류, 농업, 재해대책, 유지보수,
본지가 5년 전부터 각종 전시회의 온라인화를 구상해 온 이유는 짧은 시간 아쉬었던 전시회 현장의 각종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마다 접근할 수 있는 전시의 상설화의 절실한 필요성을 체감한 까닭이다. 그 준비 과정으로 온라인 세계엔딩산업박람회(WEBF)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지난 3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중이기도 하다. (클릭 ▼) 마침 일본의 엔덱스산업전(ENDEX産業展)이 금년부터 온라인으로도 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있어 무척 반가운 바가 있다. 앞으로 양국간 상호 협력할만한 방안을 모색해 볼 예정이다. 우선 관련 소식을 우리 업계 전문인들 및 사업자 여러분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Online 엔딩산업 디지털 전시회 최신 정보 한자리에, 상시 상담, 판로개척 광제당 그룹의 도쿄박선 주식회사(본사: 도쿄도 미나토구, 대표이사 사장 와다 쇼오, 이하 '도쿄박선')는 엔딩 산업에 특화된 디지털 전시회 '엔딩 산업전 Online'을 2025년 6월 2일(월)에 개설했다.'엔딩산업전 Online'은 WEB 개최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24시간, 365일, 어디서나 엔딩 업계 기업의 과제 해결을 지원하는 BtoB 플랫폼이다. 엔딩 업계 최대 규모의
日 세번째 개최, 오사카 엑스포 성대한 개막 4월 13일 일본 오사카·간사이 엑스포(EXPO)가 '생명이 빛나는 미래 사회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개막했다. 이번 엑스포는 5년마다 열리는 '등록 엑스포'로 일본에선 1970년 오사카 엑스포와 2005년 아이치 엑스포에 이어 세 번째 개최다. 한국에서 열렸던 대전 엑스포, 여수 엑스포는 이보다 규모가 작은 '인정 엑스포'다. 일본 언론과 사회에선 엑스포보다 '만국박람회'의 준말인 '반파쿠(万博)'란 용어를 더 많이 쓴다. 이번 엑스포는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가까운 오사카의 인공 섬 유메시마(夢洲)에서 열린다. 박람회장 면적은 155ha(약 1.55㎢)로 도쿄돔 33개가 들어갈 정도다. 158개 국가·지역이 참가해 전시관 등을 설치했다. 둘레 2㎞의 세계 최대 목조 건축물인 '그랜드 링' 안팎에 이런 전시관들이 꽉 들어차 있다. 참가국과 일본 기업들의 전시관은 총 84개로 차세대 기술과 중요 문화재 등을 전시했다. 특히 해외 각국의 57개관은 모두 그랜드 링 안쪽에 배치해 집중도를 높였다. 일본 내에선 개막 전부터 흥행 부진에 대한 우려가 컸다. 일본국제박람회협회가 집계한 결과, 지난 11일 기준 사전 입장권 판매는
결론적으로 소규모 비즈니스를 시작할 때는 효과적인 사업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사업계획서는 목표와 전략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동시에 투자자를 유치하거나 자금을 확보하는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업 계획서의 각 섹션(경영진 요약, 회사 설명, 마케팅 전략, 재무 계획)에서 이러한 지침을 따르면 성공적인 소규모 스타트업 창업의 어려움을 헤쳐나갈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됩니다. 소규모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여정은 설레고 성취감도 크지만, 성공 확률을 높이려면 탄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중하게 작성된 사업 계획은 스타트업의 로드맵 역할을 하며 목표, 전략, 재무 예측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 도움말에서는 소규모 비즈니스에 맞는 영향력 있는 사업 계획을 작성하는 단계를 안내해 드립니다. ★경영진 요약 임원 요약은 사업 계획서의 첫 번째 섹션으로 회사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사명 선언문, 목표 시장, 제품 또는 서비스, 경쟁 우위 등 비즈니스의 핵심 요소를 간결하게 요약해야 합니다. 이 섹션은 나머지 문서의 분위기를 설정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요약본을 작성할 때는 소규모 스타트업의 고유한 특징과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는 이유를 강조하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제공하는 데이터 기반 경영지원 플랫폼 '소상공인 365'의 시범운영이 31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플랫폼은 18년간 운영된 상권정보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여러분의 사업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 365'는 구체적으로 64개의 공공 및 민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22종으로 융합하고, 이를 통해 아래 주요 서비스를 제공한다. 1. 빅데이터 상권분석: 과밀창업을 방지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이를 통해 어떤 상권이 적합한지 파악할 수 있다. 2. 내 가게 경영진단: 매출액과 고객 관심도를 바탕으로 사업장의 경쟁력과 생존 가능성을 분석한다. 시간대별 인기 메뉴와 유동인구 정보를 제공하여 경영전략 수립에 도움. 3. 상권·시장 핫트렌드: 특정 고객층이나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핫플레이스 정보를 제공하여 창업 아이템과 연계한 최적의 입지 선택을 지원한다. 중기부의 원영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이 플랫폼이 예비창업자와 소상공인에게 데이터 기반의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365'라는 숫자처럼 언제든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계
오픈AI가 '챗GPT'를 웹이 아닌 윈도우 앱 버전으로 출시했다, 이를 통해 별도의 브라우징 없이 간편하게 사용, PC 필수 앱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오픈AI는 18일 챗GPT 유료 사용자인 플러스와 팀, 엔터프라이즈, 에듀 사용자를 대상으로 윈도우 앱의 초기 버전을 출시했다. 무료 사용자를 포함한 정식 버전은 올해 말까지 제공할 계획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윈도우 10 이상 버전에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아직 음성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또 GTP 스토어 일부와 통합이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앱 출시로 챗GPT의 접근성과 편리성이 강화됐다. 우선 기존처럼 웹 브라우저를 열고 챗GPT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식 대신, 키보드 단축키(Alt + 스페이스)를 통해 한번에 접속할 수 있다. 또 챗GPT 창의 사이즈를 줄여, 다른 앱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한쪽 구석에 띄워놓고 활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PC에 저장된 파일이나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 챗GPT에 포함된 '달리 3'를 활용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번 앱 출시는 지난 6월 iOS 출시에 이어 4개월 만에 등장한 것이다. 이에 대해
2024 글로벌 인플루언서 엑스포에 귀하를 초청합니다. 인플루언서 산업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행사에 참석하셔서 자리를 빛내 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관련기사 : 2024 글로벌 인플루언서 엑스포(GIE2024) 개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추석 연휴 기간 유럽을 찾아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폐회식에 ‘깜짝’ 등장했다. 이 회장은 이 자리에서 일찌감치 기술인의 길을 선택한 젊은 기술인들에 감사의 뜻을 전하며 “대학에 가지 않아도 기술인으로서 존중받고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8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프랑스 리옹 그루파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4 리옹 국제기능올림픽’ 폐회식에 참석해 국가대표 선수단을 격려하고 수상자에게 메달을 직접 수여했다. 이 회장이 대회에 참석한 것은 2009년 캐나다 캘거리 국제기능올림픽대회, 2022년 국제기능올림픽 특별대회 고양에 이어 이번이 3번째다. 이 회장이 국가대표 선수단이 모인 곳을 찾자 선수들 사이에서는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이 회장은 선수들의 어깨를 두드리고 악수를 하는 등 5분간 선수단 전원을 축하하며, 일부 선수들의 ‘셀카(셀프 카메라)’ 촬영 요청에도 흔쾌히 응했다. 이 회장은 이날 “젊은 기술인재가 흘린 땀방울이 기술강국 대한민국의 기반”이라고 말하며 “대학에 가지 않아도 기술인으로서 존중받고 성장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은 이 회장의 ‘기술중시
중소벤처기업부는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기업 등 6대 은행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소외 소상공인 등을 위한 원스톱 금융지원 업무협약(MOU)’를 11일 신한은행 본점에서 체결했다. MOU에는 6개 시중은행이 부산, 대구 등 9개 지역에서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대상 확인서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연계 지역신용보증재단 보증서의 오프라인 신청·접수를 대행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책자금(대리대출) 안내·상담 등을 시행하는 내용이 담겼다. 기존에는 정책자금 신청을 위해 소진공 지역센터 1회, 지역신보 1회, 은행 2회 등을 방문해야 했지만 앞으로는 은행 2회 방문으로 상담부터 신청까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노년층 등 디지털 소외 소상공인과 정책자금을 모르는 소상공인이 은행 영업점을 통해 정책자금 안내부터 접수까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MOU에 이어 6대 은행장과 함께 2024년 금융지원위원회를 개최했다. 위원회에서는 소상공인 금융애로 완화와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화를 지원하기 위한 민관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중기부는 지난 7월 3일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 중 △소상공인 대환대출 지원대상 확대 △
카카오헬스케어 컨소시엄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초거대AI 기반 보건의료 서비스 지원 사업' 주간사업자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초거대AI를 활용해 △실시간 소아 건강상담, 소아 맞춤형 질병예측 알림 서비스 개발·실증 △소아 진료 지원을 위한 환자 맞춤형 증례 분석·처방 보조 서비스 개발·실증이 목표다.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병·의원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초거대AI를 활용해 의료서비스 공급 체계를 강화하자는 취지다. 2027년까지 4년 간 320억원이 투입된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모기업인 카카오와 분당서울대병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 컨소시엄은 △카카오헬스케어가 AI 기반 당뇨 관리 서비스 '파스타'를 운영하며 축적한 임상·데이터 운영 경험 △카카오가 보유한 국민 메신저 '카카오'와 연내 공개 예정인 거대언어모델(LLM) 코지피티를 고도화한 '코지피티 2.0' △국내 최고 수준의 임상 역량을 보유한 분당서울대병원을 경쟁력으로 내세웠다. 특히 카카오헬스케어가 '카카오' 메신저를 활용해 만성질환(당뇨) 관리 플랫폼을 개발·운영한 역량을 높이 평가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는 이번 사업 수주로 국내 초거대AI 시장에서 핵심 레퍼런스를 확보하는 동시에 의료AI 분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재취업을 준비하는 4050 세대가 직무를 미리 경험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4050직무훈련’의 4차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올해 총 3회차 모집을 실시한 4050직무훈련은 총 13개 과정에 295명이 참여했다. 이 중 훈련을 마친 4개 과정에서 총 28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모집부터 경쟁률 11대1로 큰 관심을 받았던 '약국사무원 양성과정'에서 10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스마트폰 활용지도사 과정'이 강사 10명을 배출했고 '역사문화체험강사 과정'에서도 3명이 조기 취업에 성공했다. 프리미엄 드라이버를 양성하는 '파파크루 양성과정'에서는 수료자 10명 중 5명이 해당 기업에 취업했다. 7일부터 시작되는 4차 모집에서는 총 7개 과정에 170명을 모집한다. △중고 자동차 진단평가 전문인력 △시니어 방문학습 지도사 △보험설계지원 매니저 △도시가스 시설기사 등 새로운 분야의 직무훈련이 개설됐다. ‘중고 자동차 진단평가 전문인력 양성과정’은 한국자동차진단보증협회와 협력해 자동차 진단평가사 2급 자격증 취득을 지원해 취업까지 연계한다. ‘시니어 방문학습 지도사’는 대교그룹과 함께 시니어 맞춤 1대1 인지케어 서비스 인력을 양성한다. 사회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