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지역에서 공동·공원묘지를 생태공원으로 탈바꿈시키는 노력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남원시는 향교동 공동묘지 부지였던 2만3000㎡를 생태휴식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5월부터 추진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남원시는 묘지 이장과 토사반출 등으로 훼손된 이 일대를 생태 복원해 녹지공간을 확충하고 생태체험공간과 산책로 등으로 10월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한 ‘도심 속 유휴부지를 활용한 생태숲 복원사업’이 환경부의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5억원을 확보했다. 앞서 시는 이 공동묘지 내 765기의 분묘를 이장시키거나 무연고 봉안당에 안치했다. 시 관계자는 “이 일대는 접근성이 좋아 식생환경 복원을 통해 다양한 생물서식 공간이 조성될 것”이라며 “특히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생태체험과 함께 환경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전주시는 효자동 공원묘지에 2500㎡ 규모의 자연장지(自然葬地)를 추가로 조성했다. 이곳은 2200위 정도를 안치할 수 있는 규모로 모두 2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시는 자연장지 주변에 정자(亭子)와 의자 등 각종 편의시설도 설치했다. 앞서 시는 2009년 3000㎡ 규모의 자연장지를 조성해 시민과 완주군민들에게 30만원(40년 기준)의 사용료를 받고 제공하고 있다. 전주시는 시가지가 확장되면서 도심권에 근접해 흉물로 전락한 이 공원묘지 일대를 시민공원으로 바꾸기로 하고 1만여㎡에 운동장을 만들고 주변에 의자 등 편익시설과 대형 화단 등을 조성했다. 또 묘지 내 봉분(무덤)을 납골당이나 수목장으로 전환토록 유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1977년에 조성돼 혐오시설로 꼽히고 있는 공원묘지를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개선하고 장례문화를 바꾸기 위한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