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9 (화)

  • 구름많음동두천 12.3℃
  • 구름조금강릉 10.1℃
  • 구름많음서울 14.5℃
  • 흐림대전 13.8℃
  • 구름많음대구 12.7℃
  • 구름많음울산 14.7℃
  • 흐림광주 15.9℃
  • 구름많음부산 15.4℃
  • 흐림고창 14.4℃
  • 제주 16.4℃
  • 구름많음강화 13.9℃
  • 맑음보은 10.3℃
  • 흐림금산 14.1℃
  • 흐림강진군 15.8℃
  • 구름많음경주시 12.1℃
  • 구름많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경주 천마총 40년만에 새로 태어난 '천마 2마리'

 

경주 천마총 출토품 중에서 새로운 천마도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기존에 널리 알려진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天馬文障泥) 1점과 함께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다른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1점과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말다래 1점을 처음 공개한다. 1973년 4~12월 발굴한 경주 천마총에서는 금관을 비롯한 총 1만1천526점이 출토됐다. 출토품 중 처음 발견된 것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흰말, 즉 '천마'를 그린 백화수피제 말다래였고, 이 때문에 '천마총'으로 명명됐다. 말다래는 말을 탄 사람의 옷에 흙이 튀지 않도록 가죽 같은 것을 안장 양쪽에 늘어뜨려 놓은 기구다. 말다래는 1978년 국보(제207호)로 지정됐다.

 

발굴보고서에는 백화수피제(白樺樹皮製), 죽제(竹製), 칠기제(漆器製) 등 세 종류의 말다래가 각각 한 쌍씩 부장됐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모두 유기질이어서 발굴 당시 이미 보존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다. 특히 칠기제 말다래는 거의 남아있지 않아 실제 말다래인지도 분간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현재 존재가 밝혀진 말다래는 백화수피제와 죽제 두 쌍이었다.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한 쌍은 아래위로 겹쳐 부장됐는데, 아래에 있던 말다래(下)가 위에 놓인 말다래(上)보다 좀 더 좋은 상태였기 때문에 그동안 아래에 있던 말다래(下)만이 제한적으로 공개돼 왔다. 널리 알려진 천마도가 바로 이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이다. 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던 다른 백화수피제 말다래(上)가 이번에 보존처리가 완료됨에 따라 발굴 40년 만에 처음 공개돼 완성된 아래위 한 쌍이 세상에 선보이게 됐다.

 

한편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말다래는 얇은 대나무살을 엮어 말다래의 바탕판을 만들고, 천마문 등의 무늬를 투조(뚫어 만듦)한 크고 작은 금동판 10매를 조합해 장식했다. 천마문 금동투조장식은 경주박물관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처음 확인된 것이다. 눈과 귀 등의 표현과 함께 목과 꼬리의 갈기 형태가 기존 백화수피제 천마문 말다래 천마와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다. 경주박물관은 천마총 특별전인 '天馬, 다시 날다'(18일~6월 22일)를 통해 이들 출토품을 일반에 공개한다. 그러나 보존을 위해 3차례(1차 18일~4월 6일, 2차 4월 29일~5월 18일, 3차 6월 3~22일)로 기간을 나누어 제한적으로 공개한다.


 

 



배너

포토뉴스


고령자의 敵, 無爲로부터 벗어나자 -변성식 소장 고대로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가족과 사회의 주도권을 남성이 행사해온 가부장 제도가 시스템화되어 발전되어 왔다. 농업 사회의 형성과 함께 남성은 주로 경제적 생산과 외부 활동으로, 여성에게는 촉진적 역할로 가정 내 자녀와 가사에 집약적인 분업 구조가 형성되었고 구조적으로 남성 우위의 가부장제가 강화되어 왔다. 이 영향으로 남성들은 사회적 기대에 따라 강인해야 하고, 감정을 표현하거나 어색함을 드러내는 것을 금기시하게 만들고, 여성이 담당해온 부엌은 금남의 구역으로 각인시켰다. ​ 현대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의 물결은 성 평등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경제 구조의 변화, 교육 기회의 확대로 인한 남녀의 역할과 제도적 활동 영역의 확대로 커졌고 젠더 인식의 중요한 변화로 이어져 여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각 분야에 활발한 참여와 함께 누구나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자신의 능력에 맞는 역할을 인정받는 시대를 살고 있지만, 일부 고령의 남성들은 아직도 과거의 가부장적 관념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낯선 풍습과 맞서는 어려움을 온몸으로 마주하고 있다. 평생을 부인의 혹은 자녀들의 당연한 부양을 받아오던 몸에 밴 생활에서 어느 날 갑자기 혼자된 이들의 당황스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