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美, 경기침체.화장유행, 묘지매물 증가

 

미국에서 경기침체 여파와 매장 대신 화장(火葬)이 증가하면서 묏자리가 대량으로 매물로 나오고 있다. 플로리다주 타이투스빌에 거주하는 82살의 클린턴 레몬즈 부부는 30여년전 구입해놓은 동네 공동묘지 묏자리를 2년전부터 매물로 내놨지만 팔리지 않고 있다.

묘지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특히 경기침체로 돈이 필요한 사람들이 이미 구입해 놨던 묏자리를 시장에 내놓는 경우가 많아 구매자가 주도하는 시장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 남부 지방에서 묘지 판매사업을 하는 추우씨는 "언제라도 판매할 수 있는 묏자리가 1천여개 있다"면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태"라고 말했다.

미국판 온라인 벼룩시장인 `크레이그 리스트"에는 미 전국 각지에 5천여개의 묏자리 매물이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나와있는 상태이다. 이처럼 묏자리가 매물로 많이 나온 배경에는 경기침체로 급히 돈이 필요한 경우 외에 최근들어 미국인들 사이에 전통적인 매장 대신 화장을 선호하는 추세도 작용하고 있다.

북미화장연합회(CANA)의 존 로스 회장은 묏자리와 관(棺), 매장비용 등 장례비용이 대폭 오른데다 화장 등 친환경 장례방식을 선호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 점이 묘지가 많이 매물로 나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그리스 정교회와 이슬람 및 유대교는 화장을 인정하지 않지만 일부 기독교 및 가톨릭 단체들이 화장을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는 등 종교관이 변화하는 점도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지난 2007년의 경우 미국에서 사망한 250만명 가운데 32%가 화장을 선택해 화장비율이 29.5%에 그쳤던 2003년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 CANA는 화장비율이 2008년에는 36%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2015년에는 44%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묘지 공간이 부족한 뉴욕 등 대도시 지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역의 공동묘지들은 화장터 운영과 납골당 설치 등을 통해 적자를 타개해 나가고 있다.

특히 일부 장의사들은 화장을 하더라도 별도로 추모식을 해주거나 유골을 뿌린 곳에 추모공원을 설치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전미장의사협회에 따르면 매장을 할 경우 관 구입비용까지 합해 평균 7천300달러 이상 소요되는 반면, 화장을 하면 보통 1천650달러 정도가 든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