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中묘지값 상승속 水葬 관심

▶아파트보다 비싼 묘지도 등장..수장은 50만원
▶화장한 유골을 홍콩이 바라다보이는 바다에 뿌려달라고 유언한 중국 개혁.개방의 총 설계사 덩샤오핑(鄧小平)의 장례 방식이 중국에서 자리잡고 있다. 묘지값이 웬만한 아파트 가격을 웃돌 정도로 천정부지로 치솟는 점 등을 감안, 정부 역시 유골을 화장한후 바다에 뿌리고 위패만 납골당에 안치하는 수장(水葬)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요심만보(遼瀋晩報)의 29일자 보도에 따르면 랴오닝(遼寧)성 민정청은 28일 다롄(大連)에서 134명의 선양(瀋陽)시민이 참가한 가운데 제80회 수장 의식을 거행했다. 유족들은 친인의 유골을 꽃과 함께 바다에 뿌리며 명복을 빌었다. 랴오닝성 민정청 판위안송(潘元松) 부청장에 따르면 1998년 이후 모두 4천500건의 장례가 수장으로 치러졌다. 이중 작년 이후 치러진 수장이 2천여건이어서 수장이 급증하고 있음을 반영했다. 도시별로 보면 수장 의식을 무료로 지원해주는 다롄이 500여건으로 가장 많았다.

수장 의식에 드는 기본요금은 악대이용, 차량, 승선, 보험료, 꽃값을 포함해 380위안(6만4천원)이다. 물론 유골을 화장하는 비용하는 비용과 위패를 납골당에 안치하는 비용은 별도지만 큰 부담이 될 정도는 아니다. 수장을 장려하기 위해 의식비용을 전액 지원해주는 지방 정부에는 베이징도 포함돼있다. 베이징은 지난 24일 제62회 수장 의식을 치렀다. 1994년이래 모두 5천여건의 유골이 바다에 뿌려졌다.

베이징시 민정국 장례관리처 스다오원(石道文)부처장은 지난 25일자 베이징천바오(北京晨報)와 인터뷰에서 "수장을 원한 고인들은 대부분 학력이 높은 분들이었다"고 말하고 정부는 수장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더욱 구체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베이징시는 오는 4월1일부터 차오양(朝陽)구 헤이좡후(黑莊戶)향에 세운 납골당에 수장한 고인의 위패를 안치하는 비용의 상한선을 3천위안(50만원)으로 결정했다.

반면 주민 생활이 개혁.개방 결과 풍요로워지면서 호화 장례를 원하는 주민들이 늘어 묘지값은 폭등하고 있다. 지린(吉林)성 성도 창춘(長春)은 묘지 값이 1㎡당 평균 2만위안(340만원)선으로 3년전에 비해 3배 이상 뛰었고 아파트 평당 가격의 두 배 이상이다. 창춘 지룽위안(九龍源) 묘지공원의 경우 1.3㎡짜리 묘지의 최고 가격이 26만8천위안(4천500만원)으로 70㎡짜리 서민아파트 가격과 맞먹었다.

중국 경제수도인 상하이도 사정이 마찬가지다. 동방조보(東方朝報)에 따르면 상하이에서 일반 묘지는 2만~20만위안(340만~3천400만원), 고급묘지는 수십만위안으로 웬만한 호화주택 못지않은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 고급 묘지에 사용되는 토지가격은 ㎡당 5만위안(860만원)에 달하며 최소 7㎡ 이상 구매해야 한다. 상하이시민 A씨는 "묘지가격이 시내 중심가의 고급주택 가격과 맞먹는다"면서 "돈 없는 사람은 죽어도 묻힐 곳이 없다"고 고개를 저었다. [연합뉴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