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현존最古’ 9세기 부적 발견

 
- 경남 창녕 화왕산성 출토 부적목간의 윗부분(위쪽)과 이 목간의 묵서와 유사한 최근 부적(아래쪽).
▶창녕 화왕산성서… 최근에도 쓰는 기호 사용 확인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현존 최고(最古)의 부적(符籍) 목간이 확인됐다. 김재홍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24일 “지난 2002~2005년 경남 창녕 화왕산성 저수지에서 출토된 목간을 재판독하는 과정에서 목제뚜껑으로 막혀 있는 단경호(短頸壺·목 짧은 항아리) 내부에서 3점 1조로 출토된 목간에 쓰여진 묵서(墨書·붓글씨)가 요즘의 부적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글자의 모양을 하고 있으나 그 의미가 통하지 않는 목간의 묵서는 별자리나 문자를 도안화해 만든 도교의 부록(부적)이란 것.

부적 목간은 3점이 위, 아래 2곳에 쇠못으로 연결된 상태로 출토됐다. 원래 길이 16.5~17㎝, 너비 1.9~2㎝, 두께 0.4㎝ 정도인 목간 양면에 묵서를 한 뒤 3조각으로 나누고 모서리를 다듬어 못으로 고정해 항아리에 넣고 나무뚜껑으로 밀봉한 다음 일정한 의례(기우제?)를 마무리하면서 화왕산성 저수지에 투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과 달리 목간의 재판독에서 많은 글자와 기호가 확인됐다. 특히 1면에 ‘시(尸)’자 밑에 ‘□’자가 4개 있는 것은 최근에도 사용되고 있는 배의 안전을 기원하는 부적인 ‘선사부’의 ‘시(尸)’자 밑에 ‘일(日)자’가 4개 있는 것과 유사해 주목된다. 김 연구관은 “시(尸)는 삼시(三尸·인체 내에 있으며 사람의 수명과 질병, 욕망 등을 좌우하는 세가지 벌레)를 의미하고 ‘□’는 해(일·日)나 별자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표시는 중국에서 후한~남북조시대까지는 ‘○, ●’로 했다가 당나라에 들어와 ‘□’로 변했다는 것. 김종대(민속학) 중앙대 교수는 “용도에 대해선 검토가 필요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시기가 올라가는 부적임에 틀림없다”고 밝혔다. 김 연구관은 이번 부적 목간 판독 결과를 오는 28일 서울대에서 열리는 한국목간학회 제4회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