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묘지 부족 갈수록 심화 뚜렷

14일 보건복지부 자료

매장을 위해 조성된 묘지 10개 가운데 6개는 이미 시신이 안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평균으로 보면 매장률이 절반을 넘지만 서울 등 대도시 주변은 매장률이 70~99%에 달한다. 특히 이들 지역은 납골당 봉안율마저 절반을 넘은 곳도 있어 묘지뿐 아니라 납골당 부족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다.

14일 보건복지부의 ‘각 시·도별 묘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법인)가 운영하는 묘지의 총 매장가능 기수는 2백23만6천여기다. (묘지) 허가면적으로 따지면 모두 64.2㎢로 여의도 면적(8.4㎢)의 7.6배다. 이 가운데 지난해 말 기준으로 1백35만6천여기가 매장돼 전국 평균 매장률은 60.6%였다.

전국적으로는 아직 여유가 있지만 대도시 주변은 이미 묘지가 포화상태다. 실제로 서울은 수용가능한 8만8천6백48기 중 8만8천3백22기가 사용돼 매장률 99.6%를 기록했다. 서울뿐 아니라 울산, 대전, 부산 등 대도시 지역의 묘지 매장률도 80% 내외다.
반면 강원, 경북 등은 50% 이하의 매장률을 기록,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었다.

정부는 묘지가 부족해지자 화장을 장려하고 있지만 대도시 주변에는 납골당 구하기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 납골당은 총 수용가능치 1백62만7천여기 중 50만8천여기가 봉안돼 31.2%의 봉안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부산의 봉안율은 82%를 넘었고, 서울과 광주도 각각 78.3%와 60.7%의 봉안율을 기록했다.

정부는 서울 등지에 납골당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주민과 해당 지자체의 반발에 부딪쳐 엄두도 못내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