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일본왕실 장례절차비용 간소화 추진

아키히토(明仁·78·) 일왕이 자신의 장례식에 대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달라"고 요청함에 따라, 일본 정부가 일왕의 장례식 간소화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아키히토 일왕은 최근 자신의 장례를 비용이 많이 드는 매장(埋葬) 대신 화장(火葬)·부부합장(合葬)을 해달라고 요구한 바 있다. 아키히토 일왕이 이 같은 요청을 한 것은 경기침체로 왕실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따가워지자 "국민과 함께하는 왕실"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일본 왕실을 담당하는 궁내청(宮內庁)은 15일 왕실 장례 절차 간소화 방안을 내년 봄까지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키히토 왕의 아버지인 히로히토(裕仁)의 경우, 1989년에 치러진 장례식 비용으로 97억5000만엔(약 1415억원)이 들었다. 당시 일본 왕실 장례절차(大喪�J)에 따라 대규모 장례식장이 신주쿠교엔(新宿御苑·공원)에 설치됐다. 장례식장 설치와 관련된 비용에만 29억엔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장례식 비용의 95%는 정부 예산에서 지급됐지만 당시는 일본 경제가 최절정의 버블기여서 장례 비용에 대한 비판은 많지 않았다.

일본 정부는 신주쿠교엔에 장례식장을 설치하는 대신 왕궁에서 장례식을 진행하고 대규모 경찰 동원이 필요한 운구행렬도 간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