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에어컨 켜고 자다 사망, 보험사고 아니다

대법원 3부(주심 박시환 대법관)는 30일 현대해상화재보험이 "A씨가 에어컨을 켜둔 채 잠을 자다 사망한 것은 특별약관상 보험사고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A씨의 아들을 상대로 낸 채무부존재확인 청구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파기, 사건을 대전지법 합의부로 환송했다.

A씨는 2007년 9월14일 오후 1시께 집 침대에 누워 숨진 채 발견됐고, 이 사건을 담당한 경찰은 A씨가 에어컨을 켜 놓고 잠을 자던 중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내사 종결했다. 이에 현대해상은 A씨 아들의 법률대리인인 남편에게 보험금 5000만원을 지급했다.

하지만 A씨의 남편은 "아내의 사망사고는 보험 계약상 "급격하고도 우연한 외래의 사고"로, 현대화재는 약관에 따라 질병사망보험금 외에 신주말상해사망보험금 5000만원을 더 줘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현대해상은 "더 줄 보험금은 없다"며 소송을 냈다.

이에 1심 재판부는 A씨의 사망 사고가 약관상 "급격하고도 우연한 외래의 사고"라는 점에 관한 증명이 부족하다며 현대해상이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2심은 A씨의 평소 건강상태, 자살로 보이지 않는 정황 등을 종합해 "급격하고도 우연한 외래의 사고"라며 A씨 아들의 손을 들어줬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