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신라토우장식토기 대거 출토

 
- ▲ 경북 경주 쪽샘지구에 있는 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갖가지 모양의 토우(土偶)장식토기들이 출토됐다. 출산 중인 여자,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 성기가 강조된 남자(왼쪽부터) 등을 빚은 토우들에서 1500년 전 신라인의 삶과 멋이 엿보인다.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흙으로 빚은 인형을 뚜껑에 붙여 장식한 신라 시대 토기(土器)들이 1500년 만에 무덤 밖으로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8일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의 고분이 모여 있는 경북 경주시 쪽샘지구 안 B6호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적석목곽분)에서 토우(土偶)장식토기 14점을 확인하고 그 중 12점을 수습해 복원·정리 중”이라고 밝혔다.

토우장식토기는 5~6세기 신라에서 유행한 독특한 양식의 토기로 고배(高杯·굽다리접시)의 뚜껑이나 항아리의 어깨 부위에 사람 또는 동물 모양의 토우를 장식용으로 붙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토기들은 출토지를 알 수 없는 기증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토기도 거의 돌덧널무덤(石槨墓·석곽묘)에서 나왔다.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경우는 1934년 조선고적연구회가 조사한 경주 황남동 109호 2곽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이번에 발견된 토우는 지팡이를 짚고 있는 노인, 가야금으로 보이는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 성기가 강조된 남자, 출산 중인 여자 등 사람 모양과 뱀·자라·새 등 동물 모양이다. 크기는 각각 5㎝ 정도로 고배 꼭지 부분에 남자와 새, 뱀과 자라, 새 2마리, 자라 2마리 등이 대칭을 이루며 붙어 있다.

박종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은 “이제까지 토우장식토기들은 토우가 토기에서 떨어진 채 확인된 사례가 많은 까닭에 토우에 대한 미술사적 또는 민속학적 연구만 할 수 있었다”며 “이번 성과를 계기로 고분 속에 매납되는 토우장식토기의 성격과 피장자의 신분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쪽샘유적에서는 지난 2007년부터 지금까지 적석목곽분 등 150여기의 고분 분포 현황이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발견된 찰갑과 마갑 일체는 신라시대 중장기병의 실체를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복원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발굴조사 성과로 평가된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