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해가는 장례의식-> 장례기간단축, 화장후자연장, 자택임종

  • 등록 2023.09.21 12:01:49
크게보기

'이투데이' 여론조사, 세대별 희망 비교돼

동업지 이데일리가 한국의 장례문화 전반에 걸쳐 종합적인 현황파악 통계를 제시해 눈길을 끌고있다. 본지는 '이투데이'의 기획 의도를 높이 사면서  널리 국민들과 공유하는데 일조하여 한국 장례문화와 장례관행 개선에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편집자-주] ◈

 

 

66% “삼일장 적당” 2명중 1명 “내 장례는 1~2일 희망” 
10명중 4명 “희망 임종장소로 자택 등 주거지” 꼽아
자연장 43.1%, 봉안 24.9%, 산분장 27.7% 희망

 

18일 이데일리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5.9%는 적당한 장례기간으로 3일을 꼽았다. 2일은 26.9%, 1일은 6.9%였다. 적당한 장례기간에 대한 인식은 연령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자신의 장례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전제로 희망하는 장례기간을 묻는 문항에선 3일이 49.7%로 줄었다. 2일은 32.9%, 1일은 16.9%였다. 교체분석 결과, 적당한 장례기간로 3일을 선택한 응답자 중 25.3%는 희망 장례기간 문항에서 1~2일로 선택지를 옮겼다.

 

장례방식 문항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바람직한 장례방식 순위는 ‘화장 후 자연장(수목형·화초형·잔디형 등)’ 39.6%, ‘화장 후 봉안시설 안치’ 34.5%, ‘화장 후 산분장(산·강·바다에 뿌림)’ 20.3%, ‘매장(묘지)’ 4.6% 순이었다. 반면, 희망하는 장례방식에선 자연장이 43.1%로 압도적 1위였다. 봉안시설 안치는 24.9%, 산분장은 27.7%에 머물렀다. 매장도 3.9%로 줄었다.

 

바람직한 장례방식 문항에서 봉안시설 안치를 선택했던 응답자 중 33.9%는 희망하는 장례방식에서 자연장, 산분장으로 옮겨갔다. 매장을 바람직한 장례방식으로 꼽았던 응답자는 38.7%가 희망하는 장례방식에서 다른 장례방식을 선택했다. 자연장, 산분장은 장례비용, 유지·관리비용 측면에서 봉안시설 안치, 매장에 비해 자식 등 유가족의 부담이 작다.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은 전통적 장례기간·방식을 바람직하다고 여겼지만, 이 중 상당수는 본인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보다 간소한 방식으로 장례가 진행되길 희망했다.

 

특히 장례방식 문항에서 연령대별 차이가 두드러졌다. 바람직한 장례방식으론 20대 이하와 30대가 봉안시설 안치를 1순위(각각 48.3%, 41.8%)로 꼽았으나, 40대 이상은 자연장을 1순위로 꼽았다. 60대 이상은 자연장 응답률이 49.0%였다. 희망하는 장례방식에서도 20대는 36.0%가 봉안시설 안치를 꼽았지만, 30대 이상 전 연령대에선 자연장을 가장 선호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봉안시설 안치, 매장을 기피하고 자연장, 산분장을 선호하는 건 자식 등 유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겠단 의미로 해석된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장례식은 ‘남 일’에서 ‘내 일’에 가까워진다. 저연령대에 비해 고민이 현실적일 수밖에 없다.

 

희망하는 임종장소 문항에서도 같은 경향이 확인됐다. ‘자신의 임종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면 희망하는 장소는 어디냐’는 질문에 39.7%가 ‘자택 등 주거지’를 꼽았고 ‘병원 입원실 등 의료기관’(30.1%), 요양원 등 장기요양시설(7.3%) 등으로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 응답자 45.3%가 ‘자택 등 주거지’라고 답한 것을 비롯해 30~50대에서도 ’자택 등 주거지‘가 1위였다.

 

반면, 60대 이상은 40.6%가 ‘병원 입원실 등 의료기관’을 선택했다. 희망하는 장례장소 문항에선 장례식장을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는데, 60대 이상에선 그 비율이 72.0%에 달했다. 20대 미만과 30대는 장례식장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신, ‘고인의 생전 주거지’란 응답이 각각 22.1%, 24.2%로 높은 편이었다.

 

이번 여론조사는 7월 1일부터 7일까지 온라인 패널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방식은 구조화한 설문지를 활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웹 조사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p)다.

 

 

[기사출처 : 이투데이]

앤딩플래너 김동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