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현충원 증설, 인근 도시계획과의 마찰로 잡음

  • 등록 2018.01.10 11:38:51
크게보기

국립대전현충원과 대전시가 현충원 내 납골당(충혼당) 건립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부족한 안장 공간을 대체하기 위한 대전현충원의 납골당 조성계획을 대전시가 교통대책 부족을 이유로 반려했다. 10일 대전현충원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해 말 도시계획심의위원회를 열어 대전현충원의 납골당 건립계획을 부결했다. 납골당 건립에 따른 교통대책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12만기 안팎의 유해가 안장된 대전현충원은 현재 제7묘역 공사가 한창이다. 대전현충원에 조성되는 마지막 묘역이다. 매년 4천500여기 정도를 안장한다고 고려할 때 4년 뒤면 대전현충원 안장 공간이 없어진다. 이를 대비해 현충원은 2021년까지 유해 5만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납골당(9천500㎡) 건립 계획을 세웠다.

.

.

그런데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인 현충원 부지 관리계획을 바꿔달라는 현충원의 요청을 대전시 도시계획심의위원회가 거부하며 갈등이 시작됐다. 심의위원들은 현충일·명절에 참배객들로 주변이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몸살을 앓는 만큼 적절한 교통대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현충원은 대전시가 7묘역을 만들 때까지 아무런 말이 없다가 느닷없이 교통대책을 요구한다며 반발했다. 시는 앞서 지난해 5월 현충원 측에 제2진입로 건설을 제안했다. 현충원 북측과 맞닿은 유성구 노은 4지구에 새로운 진입로를 개설하면 차량을 분산할 수 있다며 국가보훈처와 대전현충원을 찾아 예산확보에 힘을 모으자고 설득했지만 긍정적인 답변을 얻지 못했다.


현충원은 '도시계획 변경 부결'이 진입로를 개설하는 데 협조하라는 무언의 압박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도시계획 변경 일정이 늦어지자 납골당을 만들어 애국·독립지사 등의 유해를 모시려 했던 현충원의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됐다. 현충원은 대전시 요구대로 교통영향평가를 받아 도시계획변경을 다시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국립대전현충원은 2018년 무술년 새해를 맞이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충의와 위훈을 기리기 위해 참배행사를 거행했다. 이번 새해맞이 참배행사는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5일동안 현충탑에서 거행됐으며, 대전·충남·세종지역 각 공공기관·단체 및 군·경 대표 등 총 87개 기관 3682명이 참석했다. 1일 대전시, 대전시의회 의장 등 5개 기관 195명을 시작으로 2일에는 육·해·공군참모총장, 국가보훈차장 등 45개 기관 1856명, 3일에서 5일까지 37개 기관 1631명이 참여했다. 

김혜성 기자 biz114@hanmail.net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