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시대, 규제개혁 등 생산력 제고 노력 중요

  • 등록 2016.06.06 15:02:24
크게보기

.

사단법인 포럼오래(회장 함승희), 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 와세다대 아태연구소의 공동 주최로 일본 도쿄 정책연구대학원대학에서 열린 국제 학술 심포지엄에서 포럼오래 함승희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역사관은 개인에 따라,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인간의 존엄과 인류보편의 가치관에 따른 통찰과 행동만 갖춰진다면 왜곡된 한일 관계는 언제든 정상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고 낙관했다. 더불어 '한일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전략' 세션에서 양국 전문가들은 한일의 중대한 공동 관심사인 저출산·고령화 대책을 논의했다.


모리타 아키라 일본 사회보장인구문제 연구소장은 전체 인구 중에서 생산연령층은 많고, 어린이와 고령자는 적어 고도 경제성장이 가능한 상태인 '인구 보너스'가 지속적일 수 없음을 일본 사회가 제때 깨닫지 못했다고 소개했다. 모리타 소장은 "일본에서는 역사적으로 일시적인 현상인 '인구 보너스' 상태를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사회·경제적 구조로 인식한 것이 그 다음 찾아올 저성장에 대한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한 원인의 하나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한 번의 고도 성장을 목표로 한 다양한 성장 정책이 발표되고 있지만 성장의 견인력이 되는 소비자의 수와 노동력 등은 확실히 감소할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저출산·고령화는 우리 경제의 잠재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낮추게 돼 선진국 진입에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며 "성장 잠재력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성 및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를 장려하는 일과 규제 개혁 및 교육개혁 등 생산력 제고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복지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려면 모든 아동들의 인적 자본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여성의 사회진출 촉진을 위해 여성에 대한 육아지원을 강화하고 학력과 경력에 맞는 구직 활동 및 직업 훈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이 교수는 밝혔다.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