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고령자 통계'

  • 등록 2013.11.19 08:22:39
크게보기

 

통계청에서는 매년「노인의 날(10. 2)」에 맞추어 고령자 관련 통계를 수집, 정리한 『고령자 통계』를 제공해 오고 있으며, 금년에는 "배우자 유무에 따른 고령자의 생활 및 의식"에 대한 특성을 분석했다.

                                                                                             [ 별첨 : 관련 자료 - 편집자 주]


[주요내용]

○ (고령인구) 2013년 고령자는 전체 인구의 12.2%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
   - 고령자의 성비는 70.7, 2030년에는 81.1로 높아질 전망
   - 노년부양비는 16.7로 생산가능인구(15~64세) 6명이 고령자 1명을 부양하는 꼴
   - 고령자 비율이 높은 지역은 전남, 낮은 지역은 울산
   - 2011년 기준 65세 고령자의 기대여명은 남자 17.4년, 여자 21.9년
○ (고령가구) 고령가구의 비율은 19.5%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
○ (국제비교) 2010년 고령화율과 노년부양비는 주요 선진국 수준보다 낮으나 향후 2040년에는
              일본 다음 수준으로 높아질 전망

○ (사망원인) 고령자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암
○ (고령자 진료비) 고령자의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⅓ 수준, 1인당 진료비는 293만원
○ (이혼 및 재혼) 고령자의 이혼 및 재혼건수는 남녀 모두 급속한 증가세
○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부모 부양에 대해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견해는 증가 추세
○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고령자가 비고령자보다 「자녀와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다소 낮아

○ (경제활동참가율)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30.7% 수준
○ (취업의사 및 취업을 원하는 이유) 고령층(55~79세) 인구 10명 중 6명은 취업을 희망
○ (일자리 선택기준) 고령층(55~79세)의 일자리 선택기준은 「일의 양과 시간대」가 가장 높았음
○ (취업자의 월 급여 수준)60세 이상 취업자의 월 급여 수준은 전체 평균(100.0)의 77.7 수준  
○ (국민기초생활보장)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고령자의 비율은 28.9%
○ (공적연금 수급자) 공적연금을 받는 고령자는 34.8% 수준
○ (인터넷 이용률) 고령자의 인터넷 이용률과 SNS이용률은 모두 증가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