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다잉, 사회문화운동으로 전환해야

  • 등록 2013.01.25 16:09:36
크게보기

웰다잉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

국민 82%가 장례식장 대신 완화의료시설 마련을 찬성한다는 조사 자료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윤영호 교수 연구팀은 정부에서 말기환자를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제도화 계획을 밝힌지 10년이 된 것을 계기로 "웰다잉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월 1일부터 6월 11일까지 전국 만20~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다른 사람에게 부담 주지 않음(36.7%)이 가장 많았고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30.0%)이 뒤를 이었다.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방안으로 ▲말기환자 간병을 도와주는 지역별 간병품앗이 활성화(88.3%)를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병원/집 근처에 의료 및 간병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시설 마련(81.7%) ▲삶의 마무리를 위한 의료비 및 간병비 국가가 책임(78.7%) 등 삶의 마무리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에 매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한 응답자들은 의료인의 임종환자 관리 교육(83.7%),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문화 캠페인 전개(81.6%), 사회적 합의에 따른 임종환자 진료지침 및 표준적 진료 확립(80.0%), 삶의 마무리 관련 사회적 합의(74.1%) 등 의료·문화적인 지원에 대해서도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해 가족들과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에 대해 자주 이야기해야 한다’(67.8%) 등 정서적 지원에 대해서도 찬성하는 비율이 과반수를 넘었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그러한 경향이 더욱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사회적 시스템 마련 등 국가전략 수립과 관련하여 5개년 국가전략의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70.9%가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 수립의 주체로는 정부 (47.5%), 국회 (20%)를 각각 1위, 2위로 꼽았다.

윤영호 교수는 "정부가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밝힌 지 만 10년이 지나면서 그동안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졌다"며 "하지만 정부차원의 정책이 사전의료의향서 법제화만이 아니라 국가가 삶의 마무리를 위한 의료비와 간병비를 실질적으로 책임지는 재정적 지원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뉴스관리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