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애견사업의 흥망 추세

▶"애견=충무로" 절대공식 깨져
▶강남 등에 고급 매장 생기고 인터넷·동물병원서도 분양 대형 마트도 동물숍 늘려
▶"대한민국 애견 1번지" 서울 충무로 애견거리가 그 명성을 잃어가고 있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애견센터·동물병원 등 60곳이 넘었던 애견 관련 점포가 지금은 절반도 안 된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국내 애견시장은 연간 1조8000억원 규모로 매년 11%가량 성장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충무로 애견 거리는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충무로 애견거리는 썰렁하다. 대낮이었지만 셔터가 내려진 점포도 여기저기 눈에 띄었다. 문을 닫은 가게들은 글씨가 지워진 간판을 내건 채 방치되고 있었다. 한때 애견센터가 있던 자리에는 휴대폰 판매점이 들어서 있었다. 2000년대 중반만 해도 40여개 수준이었던 애견센터는 15개 미만으로, 각각 6개씩이던 동물병원과 애견 미용학원은 절반으로 줄었다. 상인들은 "다들 대놓고 이야기는 못 하지만 잘될 때에 비해 매출이 절반 수준일 것"이라고 했다.

셔터가 굳게 내려진 충무로 애견 거리 가게들. 가게 문을 닫은 지 수년이 지났어도 글씨마저 지워진 간판은 그대로다./곽래건 기자 rae@chosun.com 퇴계로 4가와 5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충무로 애견거리는 50여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1960년대부터 이미 애견 상권이 활성화돼 있었다. 국내 최초의 애완동물 센터인 "애조원"이 명동에 문을 열었다가 명동 개발에 밀려 충무로로 옮겨오자 그 주위로 애견센터가 하나 둘 들어섰다. 1가족 1자녀 정책이 시행되던 1980년대에 일었던 애완견 붐의 직접적인 수혜자가 됐고, 2000년대 초반까지도 애견센터가 계속 늘었다. "애견=충무로"라는 공식이 통하던 때였다.

변화가 생긴 건 2000년대 중반부터다. 서울 강남이나 분당 등을 중심으로 충무로와는 차별화된 고급 애견 센터가 들어서기 시작했고, 애견 센터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직접 소비자들에게 애견을 파는 업자들도 늘어났다. 인터넷 카페 등을 중심으로 자신이 키우는 개가 낳은 새끼를 분양하는 경우도 늘었다.

계속 늘어나는 동물병원 숫자도 한몫했다. 동물병원에서 동물 진료만 하는 게 아니라 애완동물 분양은 물론 관련용품까지 팔면서 애견 센터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애견 분양을 하는 동물병원 숫자는 계속 늘어 이제는 애견 센터보다 병원 숫자가 더 많다. 그때부터 애완견을 사려면 충무로에 가야 한다는 공식이 깨지기 시작했다.

"충무로에서 병든 강아지를 판다"는 언론 보도도 악재로 작용했다. 2007년 충무로에서 산 지 얼마 안 된 강아지가 병들어 있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 폐사하는 경우까지 있다는 언론 보도가 연이어 터져나오면서 애견 거리는 한바탕 홍역을 앓아야만 했다. 황모(50) 사장은 "당시 지적된 문제가 충무로 애견거리만의 문제가 아니었는데 우리가 대표적으로 비판대상이 되면서 억울한 면이 있다"며 "지금은 강아지를 칸별로 나눠놓는 등 상당히 개선됐다"고 했다.

대형 마트들도 애견 분양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마트는 2010년 12월 이마트 트레이더스 구성점을 시작으로 전국 10개점에 "몰리스펫샵"을 운영하고 있다. 소규모의 매장이 아니라 고양이까지 분양하는 애완동물 전문점이다. 롯데마트도 지난 15일 서울 송파점에 애완용품 전문점인 "펫가든"을 선보였다. 한국애견협회 박애경(52) 사무총장은 "애견 문화가 대중화되면서 애견 분양 시장도 다양화되고 있다"며 "충무로의 애견 센터는 대부분 영세한 규모인데 여기에 만족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라고 했다. [조선일보]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