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바다밑까지 탐색해 65년된 시신 찾아 추모

 
- 65년 만에 고국 땅을 밟은 로버트 스틴슨 미 공군 병장의 유해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온타리오 국제공항에 도착해 공군의 호위 속에 운구되고 있다. [온타리오 AP=연합뉴스]
▶“마지막 한 사람까지 … ” ▶태평양전쟁 때 추락 사망한 미군 병사 바다 밑 뒤져 65년 만에 가족 품으로
30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 국립묘지에서 65년간 차디찬 바닷속에 잠겨 있던 한 병사의 장례식이 거행됐다. 비운의 주인공은 1944년, 24세의 나이에 산화한 로버트 스틴슨(사진) 공군 병장. 20년간 아들의 유해조차 찾지 못해 애태우다 세상을 등진 스틴슨의 어머니도 편안히 눈을 감을 수 있게 됐다.

 
30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스틴슨은 고교 졸업 후인 41년 진주만 공습이 터지자 군에 입대했다. 그에겐 캘리포니아주 샌버너디노에서 자신이 몸 성히 돌아오길 빌고 있는 어머니와 5명의 형제가 있었다. 스틴슨은 44년 9월 1일 10명의 동료와 함께 B-24J 폭격기에 몸을 실었다. 일본군 시설을 폭격하라는 임무를 받고 태평양 상공으로 출격했다.

그로부터 며칠 후, 스틴슨의 어머니 벨라는 청천벽력 같은 얘기를 들어야 했다. 스틴슨이 탄 폭격기가 실종됐다는 통보였다. 믿을 수 없었던 어머니는 아들이 살아 돌아오기만을 학수고대했다. 2년 후 정부는 스틴슨의 폭격기가 일본군에 격추됐고 그는 이때 사망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하지만 유족들은 스틴슨의 유해는커녕 그가 사망했다는 어떤 증거도 정부로부터 받지 못했다.

이때부터 벨라는 한 달에 두 번씩 꼬박 정부에 편지를 보냈다. “아들이 죽었다면 유해라도 찾아 달라”는 탄원이었다. 하지만 정부의 답장은 매번 “아무런 정보가 없다”는 것이었다. 아들의 뼛조각이라도 보기를 소망했던 어머니는 64년 꿈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30년이 지난 94년, 15명의 스쿠버다이버가 태평양 팔라우 제도 부근에서 해저 수색을 시작했다. 이들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추락한 200여 기의 미군 전투기 잔해를 찾아 나선 민간단체 ‘벤트프롭(BentProp)’의 회원이었다. 현지 조사 끝에 승무원 11명 중 8명은 비행기와 함께 추락했고 3명은 낙하산으로 탈출했지만 일본군에 잡혀 처형됐다는 현지 주민의 증언을 들었다. 하지만 6년간의 수색에도 승무원의 유해와 비행기 잔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2000년 벤트프롭은 미 국립문서보관소에서 한 장의 흑백사진을 발견했다. 스틴슨의 폭격기가 추락하기 직전 옆에서 날던 공군기 승무원이 찍은 것이었다. 정밀 분석 결과 추락 지점은 수색하던 곳에서 14㎞ 정도 떨어져 있었다. “15년 전 고기잡이를 하다가 그곳에서 비행기 잔해를 본 적이 있다”는 현지 어부의 증언도 나왔다. 미군이 직접 수색한 결과 비행기 잔해와 함께 녹슨 안경테, 낙하산 줄, 신발끈, 동전, 인식표 등이 발견됐다. 뼛조각들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형제들의 DNA와 비교한 결과 스틴슨의 것으로 확인됐다. 폭격기와 함께 추락한 8명 중 5명의 유해가 확인됐다.

스틴슨의 유해는 성조기에 싸여 28일 미국 온타리오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2명의 형제만이 생존해 65년 만에 돌아온 그를 맞았다. 동생 리처드(87)는 “밥(스틴슨의 애칭)과 장난치다가 함께 어머니에게 꾸지람 듣던 때가 떠오른다. 어머니가 살아계셨다면 얼마나 기뻐했을까”라며 눈물을 흘렸다. 스틴슨이 전사할 당시 아홉 살이던 동생 에드워드(74)는 “형이 돌아오리라곤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 복권에 당첨된 기분”이라며 흥분했다.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