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3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100년전 평양고분에서 일어난 일

 
- 사동고분 조사 (서울=연합뉴스) 1910년 세키노 다다시(關野貞)가 이끄는 일본 발굴조사대가 1910년 평안남도 대동군 임원면 소재 대성산성 고분(사동고분)을 조사하는 광경. 흰 옷을 입는 사람들이 조선인 인부들이다. << 문화부 기사참조 >>
●발굴 중 매몰사고에 조선인부들 철수
●조선병합 이전에 이미 한반도와 만주지역 고고학 발굴조사를 주도한 도쿄제국대학 건축학과 교수 세키노 다다시(關野貞.1867-1935)는 1911년 10월에 평양 일대 고구려 고분발굴조사 일환으로 평안남도 강동군 마산면(馬山面)에 있던 대형 고분을 조사했다.

현지에서 한왕묘(漢王墓), 혹은 황제묘라 하기도 하고, 한평동 고분이라고 일컫던 이 고분은 현재 북한에서는 김형직이 만든 경신중학교가 근처에 있다고 해서 "경신리 1호"라고 부른다.

세키노가 이 고분을 발굴 대상으로 점찍은 까닭은 강동읍에서 서남쪽으로 1.56㎞ 가량 떨어진 대동강 변에 위치하는 이 무덤이 강동 일대에서는 봉분 규모가 가장 컸기 때문이었다. 애초 이 한왕묘는 1909년 도쿄제국대학 사학과 소속인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굴착조사를 시도했다가 날씨가 너무 추워 실패했던 곳이다.

 
- 사동고분 조사 (서울=연합뉴스) 1910년 세키노 다다시(關野貞)가 이끄는 일본 발굴조사대가 1910년 평안남도 대동군 임원면 소재 대성산성 고분(사동고분)을 조사하고 천장석이 노출된 광경. 흰 옷을 입는 사람이 조선인 인부다. << 문화부 기사참조 >>
세키노는 한왕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평양일보 사장인 시라타와 쇼지(白川正治)를 통해 접하고는 발굴조사에 나선 것이다.

그는 1911년 10월5일 현지 관헌의 도움 아래 발굴 첫 삽을 떴으며 이후 보름난인 18일 매장 주체부인 현실(玄室)을 확인했다.

이 한왕묘 조사 성과는 자세히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Ⅱ"에 도면과 도판 몇 장이 수록된 것이 전부다. 비단 이 무덤 뿐만 아니라 식민지 시대를 전후한 시기에 일본인들이 조사한 고구려 유적 발굴성과는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보고서가 발간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들 조사 자료 상당수가 일본에 남아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이 조사를 주도한 세키노가 남긴 자료라든가 유물은 그의 모교이면서 교수로 재직한 도쿄대학에 원고 뭉치 형태로 남아있다.

도쿄대 고고학연구실 유학 시절에 이미 세키노 자료에 주목하고 그 정리작업에 직접 참여하기도 한 영남대 문화인류학과 정인성(鄭仁盛) 교수가 마침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김용덕)이 기획한 "일본 소재 고구려 유물" 5개년 프로젝트라는 힘을 빌려 100년 전 일본인들의 조사성과를 보고서 형태로 정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 사동고분 조사 (서울=연합뉴스) 1911년 10월 세키노 다다시(關野貞)가 이끄는 일본 발굴조사대가 평안남도 강동군 마산면(馬山面) 한왕묘(漢王墓)를 조사하고 그 내부 구조를 기록한 메모. 이 고분은 황제묘라고도 하는데 이 문서에는 "황제묘"로 등장한다. << 문화부 기사참조 >>
이 프로젝트 실무기획자인 동북아역사재단 김현숙 연구위원은 "식민지시기 일본의 한국 고고학 발굴조사를 두고 확인이 곤란한 소문만이 무성한 실정"이라면서 "이번 프로젝트는 과연 일본인들이 어떤 유적을 어떻게 조사하고 그 발굴성과를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특히 이 과정에서 일본으로 나간 유물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렇게 해서 그 프로젝트 첫번째 성과물로 "일제 강점기 고구려 유적조사 재검토와 관동지역 소재 고구려 유물"을 정리한 첫 보고서가 최근 제출됐다. 일본측 조사 파트너로는 도쿄대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한국조선문화연구전공 사오토메 마사히로(早乙女雅博) 조교수가 참여했다.

그 결과 한왕묘 뿐만 아니라 병합 직후인 1910년 10월에 조사한 평양 사동 고분을 비롯해 간성리 고분군, 강서삼묘, 매산리 고분군, 화상리 고분군, 용강총, 쌍영총 고분 등의 고구려 유적 조사 성과가 상당히 구체적으로 복원됐다.

정 교수는 "식민지시대 고고학 조사 특징 중 하나가 일본이 낙랑 유적에 열성적이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시대는 물론이고 일제 패망 이후에도 낙랑 유적을 중심으로 하는 조사 성과가 속속 공개됐다"면서 "하지만 이에 비해 고구려 유적은 대부분 보고서가 간행되지 않은 채 지금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현재 소재 파악이 가능한 관련 기록들은 모두 모아 재정리하는 한편, 일본 각 기관에 소장된 관련 유물 또한 정밀 재촬영을 했다. 세키노가 발굴현장에서 쓴 소위 야장(野帳)이라는 필기 노트 또한 긴요하게 활용됐다.

 
- 강서대묘 보존처리방침 (서울=연합뉴스) 1912년 세키노 다다시(關野貞)가 이끄는 일본 발굴조사대가 평안남도 강서군 소재 고구려 고분인 강서대묘를 조사한 다음 그 보존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메모한 지침 메모. << 문화부 기사참조 >>
이를 통해 한왕묘만 해도 새로운 사실들이 드러났다. 발굴조사 과정에서 매몰사고가 일어나는 바람에 그에 참여한 조선 인부들이 집단 스트라이크를 일으켜 현장에서 철수해 버린 일이 발생한 것이다.

세키노 야장에 의하면 고분 조사에 돌입한지 5일만인 10월10일, 수직으로 파내려가던 봉토가 붕괴하면서 작업 중인 조선인 인부 1명이 매몰되고 2명은 허리까지 묻히고 말았다. 그러자 인부들은 고분은 파면 천벌을 받는다고 작업을 거부하고는 모두 현장을 철수해 버린 것이다.

이에 세키노는 겨우 평양으로 돌아가 조선인 인부 10여 명을 데리고 다시 현장에 도착한 다음에야 작업을 재개해 18일 현실로 들어가고 그 다음날 아침 평양으로 복귀했다.

나아가 조선고적도보 등지에서 발굴현장에 등장하는 조선인 조사인부는 거의 예외 없이 흰 복장에 흰 두건을 쓴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 또한 이번 조사과정에서 인부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 복장이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연합뉴스] 제공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