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케어’ 사업, 본격 경쟁 양상

2024.06.22 17:17:19

 

고령화시대에 맞물려 시니어케어 전 시장이 새로운 먹거리로 주목받으면서 요양사업이나 실버타운 등 이전에 국가나 소규모 사업자가 주도했던 실버시설은 이제 보험사·상조사 등이 주도권을 다투기 시작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요양 시장은 2018년 8조원에서 2022년 14조5000억원으로 연평균 15.6% 성장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올해 1000만 명을 넘어선 뒤 2045년에는 전체 인구 중 40%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요양업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보험업계에선 KB라이프생명·신한라이프·삼성생명·NH농협생명·DB손해보험 등이 시니어케어 산업에 진출했거나 진출할 예정이다. 상조업계에서는 보람상조·프리드라이프·교원라이프 등 주요 업체들이 모두 시니어케어 관련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보험사 중 업계 선두 주자는 KB라이프생명이다. 현재 요양시설(위례·서초빌리지) 2곳과 노인복지주택(평창카운티) 1곳을 운영 중이며, 2025년까지 △강동빌리지 △은평빌리지 △광교빌리지 3곳을 추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KB라이프생명이 운영하는 요양시설인 위례·서초빌리지는 둘이 합쳐 대기자가 5000여 명이 넘을 만큼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KB라이프생명은 요양시설과 연계된 신규 종신보험 상품인 ‘골든라이프 케어 종신보험’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가입 후 3년이 지난 뒤 피보험자가 4등급 장애 판정을 받았을 때 KB라이프생명이 운영하는 요양시설에 입소 우선권을 주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보람상조를 비롯한 주요 상조업계도 상조사업과 연계해 시니어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보람그룹은 올 들어 시니어케어 분야와 연계된 업무협약(MOU)을 연쇄 체결했다. 보람그룹은 업계 최초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올해에는 시니어 레지던스와 5성급 호텔 개발을 통해 실버케어 산업을 상조 서비스와 연계할 예정이다.

 

프리드라이프도 시니어 전용 맞춤형 상조상품 '늘 든든'을 출시하며 실버케어 사업에 진출했다. 프리드라이프는 늘 든든을 통해 시니어케어 서비스와 간병인 지원, 프리미엄 장례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병원 입원 상황 발생 시 58만원 상당의 간병비 지원 포인트를 일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교원그룹 교원라이프 역시 시니어 관련 신사업을 적극 검토 중이다. 

 

앤딩플래너 김동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