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다잉,사회적 관심과 정책기반 마련할 시점

  • 등록 2020.03.17 11:44:17
크게보기

서울연구원 보고서, '종합적 추진기반' 만들고 생애주기별로 체계적 접근 필요'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웰다잉 위한 '종합적 추진기반' 만들고 정책 수립때 생애주기별로 체계적 접근 필요' 란주제의 정책보고서를 작성했는데 최근 한국인들의 웰다잉 및 장례준비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보고서 요지를 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한다.

 

 

웰다잉, 사회적·정책적 관심 증가로 정책기반 마련할 시점
우리사회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삶의 마지막을 잘 마무리하고, 죽음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웰다잉’은 ‘좋은 죽음’, ‘존엄한 죽음’, ‘준비하는 죽음’으로 불리며, 죽음을 육체적, 심리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과정을 말한다. 국제적으로 웰다잉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제도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의료 결정제도, 장례문화 개선, 장기기증, 죽음교육 등 크게 다섯 개 분야에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고령화와 함께 고독사와 무연고 사망자 등의 사회문제가 등장하면서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서울시는 시민들의 편안한 노후와 존엄한 죽음을 위하여 웰다잉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서울시 웰다잉 사업은 초기단계로 한정적 ‘점진 확대 필요’ 
서울시는 2017년 1월 「서울특별시 웰다잉 문화조성에 관한 조례」 제정을 시작으로, 시민건강국에서 웰다잉 문화조성에 관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 웰다잉 사업은 초기 단계로 교육·체험 프로그램과 계획 수립 등 일부 영역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서비스 대상도 ‘노년층’으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의료, 장기기증, 장사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웰다잉 정책을 추진할 종합적 협의체계가 없는 상황이다. 

 

‘웰다잉 문화 확산’ 정책기반 조성해 종합적으로 추진해야
서울시는 웰다잉 정책을 위한 ‘종합적 추진기반’을 마련하고, 법제도를 정비하여 더 적극적으로 웰다잉 관련 시책을 추진해야 한다. 웰다잉 문화조성 정책의 근거가 되는 「서울특별시 웰다잉 문화조성에 관한 조례」에 상시 협의체계 운영을 명시하는 등 조례안 세부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중앙정부에서 담당하고 있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의료제도 등의 영역에서도 시민들의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서울시 차원의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 또한, 서울시는 웰다잉 관련 행정 서비스를 확대하고, 연령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을 위해 전문 상담사 등을 육성하는 등 정책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시민들이 자기 죽음을 사전에 잘 준비할 수 있도록 실체적 사업 운영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시민들이 스스로의 삶을 잘 준비하고 마무리할 수 있도록 웰다잉에 관한 교육 및 홍보를 확대해야 한다. 

 

 

관련기사 -->  “죽음 대비한 준비 없어” 44%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과 함께 삶의 마지막을 잘 마무리하 고자 하는 웰다잉(well-dying)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고 있는 고독사, 무연고 사망자의 문제뿐만 아니라 ‘존엄한 죽음’, ‘안락한 죽음’, ‘준비하는 죽음’ 등 웰다잉에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개인 차원의 심리적·육체적 준비를 넘어서 정책적으로도 웰다잉에 대한 인식 전환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16일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20~79세 남녀 총 526명 대상 조사결과 응답자 중 75.3%가 평소 본인의 죽음을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중 5.7%는 자주 죽음을 생각 한다고 응답했다. 20~30대는 약 50.0%가 평소 죽음을 생각하고 있으며, 자주 생각하는 경우는 2.0% 미만으로 거의 없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은 40대(72.2%)부터 높아졌으며, 60대(91.9%)가 가장 높았다.

 

또 65세 이상이 응답한 본인 죽음에 대비해 준비한 사항은 ‘상조회사 가입’이 26%, ‘묘지 준비’가 25%, ‘유서 작성’이 8.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이 2.0% 등이며 ‘준비 없음’은 44%에 이르렀다. 특히 연령별로 60대의 53.7%, 70대의 37.9%가 본인 죽음을 대비한 준비가 없었다.

 

아울러 장례식을 치르기를 희망하는 장소로는 병원 장례식장이 64.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문 장례식장이 28.7%였다.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본인의 장사 방식으로는 화장 70.9%, 매장 12.0%로 화장 의사가 가장 높았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일반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와함께 장례문화 중 개선돼야 할 부분으로 ‘과다한 장례비용’이 25.9%, ‘복잡한 장례 절차와 예법’이 25.1%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 ‘작은 장례식’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22.2%만 인지하고 있었다. 연령별 인지율은 40~60대가 25% 내외로 상대적으로 높으며, 20~30대가 가장 낮았다. 전체 응답자 중 57.6%가 향후 ‘작은 장례식’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20대는 80%가 작은 장례식을 치르겠 다고 응답하였으며, 60~70대는 40% 내외가 작은 장례식에 긍정적이었다.

 

한편 장기기증 찬성은 38.0%, 반대는 62.0%로 반대의견이 많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반대 의견이 높았는데, 20~30대는 60% 이상이 장기 기증을 찬성했고, 70대는 17%만이 찬성했다. 장기기증 의향은 전체 응답자 중 21.5%가 있다고 응답해, 장기기증에 찬성하더라도 기증실 천에는 다소 부정적이거나 확신이 없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시가 2017년 1월 ‘서울시 웰다잉 문화조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시행하고 있지만 ‘교육·홍보’에 관한 일부 사업을 제외하고 추진 성과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서울시가 웰다잉 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