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베수의는 일제잔재인가? “설득력 부족”

  • 등록 2020.01.09 13:04:28
크게보기

예지원 주관, ’2020상장례복식 워크샵‘ 산학계 전문가들 다수참석 관심표명

.

사단법인예지원의 2020전통생활문화워크샵의 일환으로 기획된 ‘상장례복식’을 주제로 한 워크샵이 장충동소재 예지원에서 실시되었다. ‘수의는 어떤 옷인가’ ‘상복과상장‘ 등 주제를마련한가운데 특히 ’삼베수의는 일제의 잔재인가?‘란 주제는 우리 상장례업계의 당면한 주요 이슈였다. 

 

관련 움직임을 보면  2017년 12월 28일부터 2018년 1월 20일까지 서울시청 로비에서 실시된 '빼앗긴 길, 한국 상·장례 문화의 식민지성'을 주제로 한 전시회가 있었다. 

 

약 한 달간 진행된 전시회에 대한 보도기사를 살펴보면 

”서울시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이전 우리 조상들은 생전에 고인이 입었던 가장 좋은 옷을 수의로 사용했다. 관리는 관복(官服), 선비는 유학자들이 입던 하얀 심의(深衣), 여성은 혼례복인 녹의홍상(綠衣紅裳·녹색 저고리와 다홍색 치마)을 입는 식이었다. 경제 형편에 따라 천은 비단, 명주, 무명 등을 썼다. 삼베로 수의를 만들어 고인에게 입히는 풍습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1934년 '의례준칙'을 통해 관혼상제 같은 우리의 전통 생활양식을 일본식으로 바꾸면서 시작됐다는 게 전시회 주최 측의 설명이다.“  (머니투데이 2018.12.31.일자)

 

또 가장 최근 움직임으로는 작년 2019년 11월 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장례문화 속 일제잔재 청산과 우리시대의 바른장례를 위한 국회토론회”의 경우가 있다. 이 자리에서 주제 발표자 중 한 사람인 최연우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삼베 수의’는 전통과 무관하다고 강조하고, ‘죄인의 옷‘으로 인식되던 삼베수의를 고인에게 입히는 방식으로 식민지 조선 백성들의 정신을 피폐화시키고 잉여의 고급물자를 수탈해가려는 식민정책의 일환”이라고 말하며, “고인에게 거친 삼베수의를 입히고 상주는 일반 옷을 입는 방식은 우리 고유의 상장례 예법과 반대되는 일이라고 밝혔다. (출처: 스포츠서울 2019. 11.13)

 

.

 

이처럼 삼베수의가 일제의 잔재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가운데 실시된 금번 예지원 워크샵은 주제가 말해주듯 업계와 학계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본 워크샵은 예지원 순남숙 원장의 학문적으로 접근한 브리핑과 관련 시연도 있었는데 업계의 뜻있는 관계자들이 다수 참석하여 진지한 자세로 문제에 접근했다. 워크샵과 관련하여 미리 제시된 자료 ’장례문화 일제 잔재청산 연구‘ 논문의 결론에 의하면 


”조선후기에 이르러 성호 이익, 순암 안정복, 다산 정약용 등 실학자들은 주자가례가 사서인에게 적용되기 어렵다 하여 사서인의 가례 제정의 필요성을 말하였고, 습과 염에 있어서 비단의 사용을 비판하면서 포[베]의 사용을 권장하였다. 묘지에서 출토되는 조선시대의 수의나 『국조오례의』, 『사례편람』 등의 예서에서 말하는 수의는 비단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이르면 포[베]의 사용이 청렴과 검소함을 상징하면서 지도층에서도 사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우리의 삼베 수의는 1934 반포된 「의례준칙」에서 시작되었다고 보기 보다는 조선후기 우리 삶의 변화의 흐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상례에서의 검정색 사용 및 완장의 도입과 정착과정에 대해서도 이미 1884년과 1894년 고종의 의제개혁, 서양복의 도입과 단발령,그리고 그 과정에서 함께 들어온 서양문물과 일제의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일제의 잔재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밝히고 있다.

 

 

대전보건대학교 장례지도학과 최정목교수는 ”우리의 문화가 어떤 연유에서든 수 십년 지속되면 고착화되고 그 또한 우리문화인데 너무 과거에 집착하는 것보다 현실적으로 현실에 맞게 발전해야 하며 고인의 존엄이 존중되고 위생적으로 장례문화가 바뀌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국장사시설표준협회 김길선회장은 삼베수의의 유래와 효능 그리고 삼베수의가 일제잔재라는 것에 설득력이 부족함을 역설하면서 삼베에는 항균성, 항독성 등의 일명 마약(대마초)과같은 패틴 성분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시신에 벌레나 곰팡이 같은 것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매장장법에 적합한 수의 원단으로 고착되었을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워크샵 현장을 상세히 취재한 ’예효경‘ 김익한 대표는  “35년을 수의와 함께한 경험이나 어른들 얘기를 종합해 볼 때 삼베수의를 우리가 자진해서 일제잔재로 치부하는 것은 너무 어이없는 일이고 수십 년 이어져 온 우리 대다수 국민들의 문화와 정서를 무시한 처사이며 우리 국민이 옛날에는 특히 효심이 높았기 때문에 일본이 시킨다고 부모님 수의를 하라는 대로 하는 그런 민족이 아니라”고 말하며 "현행 장법은 매장이 10%, 화장이 90%에 육박하기 때문에 삼베는 물론 한지사 인견사 등 자연섬유로 정성을 들여서 부모님 마지막 예복을 한다는 효심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지금 대부분 냄새나고 저급한 중국산 나이론, 육수면, TC면, 저마(모시) 등등이 90% 이상 유통되는 현실에서 일제잔재 운운하는 것은 한 번 더 생각해볼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우리 장례문화에 정착되다시피한 삼베수의나 완장이 일제잔재라는 것은 설득력도 부족하지만 거론 자체 또한 이해가 안된다는 것이 워크샵 참가자들의 대다수 의견이었다.

 [기사협조 : 예효경 김익한 대표]

.

 

 

관련기사 --> 2020 사단법인 예지원 상장례 복식 워크샵

김동원 기자 infois@naver.com
Copyright @2004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다10295 등록연월일 : 2003년 11월 07일 제호 : 하늘문화신문 발행인 : 김동원 | 편집인 : 김동원 주소 : 서울시 강동구 천호대로1139 강동그린타워 11층 R1135 발행연월일 : 2004년 03월 05일 전화 : 02-6414-3651 팩스 : 0505-300-3651 copyright c 2004 하늘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